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노박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봄까치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소프트웨어506181촬영일자2008:05:15 14:01:36감도(ISO)5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9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6/10조리개 최대개방116/32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3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봄까치꽃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카메라모델명E57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05:10:02 16:49:52감도(ISO)1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80조리개 값f/4.7촛점거리295/10조리개 최대개방30/10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1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280 X 960

    habal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몽블랑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05:10:26 01:01:46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2500조리개 값f/2.8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10/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60원본사진 크기800 X 560

    몽블랑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청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1촬영일자2008:05:19 09:02:50감도(ISO)200촬영모드high-speed 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2500조리개 값f/2.8촛점거리60/10조리개 최대개방4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2592 X 1944

    청암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D6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10:10:18 14:46:28감도(ISO)10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35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조리개 최대개방194698/65536노출보정0/2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3072 X 2048

    무심거사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晴嵐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86N소프트웨어N986NKSU2HWD1촬영일자2023:05:30 09:11:35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20조리개 값f/1.8촛점거리700/100조리개 최대개방169/100노출보정0/10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5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900원본사진 크기4000 X 3000

    晴嵐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晴嵐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86N소프트웨어N986NKSU2HWD1촬영일자2023:05:30 09:12:49감도(ISO)4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20조리개 값f/1.8촛점거리700/100조리개 최대개방169/100노출보정0/10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5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900원본사진 크기4000 X 3000

    晴嵐

  •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晴嵐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86N소프트웨어N986NKSU2HWD1촬영일자2023:05:30 09:12:24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20조리개 값f/1.8촛점거리700/100조리개 최대개방169/100노출보정0/10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5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900원본사진 크기4000 X 3000

    晴嵐

  • 낙엽 활엽 덩굴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ish green
  • 취산화서,
노박덩굴과(Celastraceae) 3속 (피자식물문/목련강/노박덩굴목)
노박덩굴속(Celastrus) 5종
국명노박덩굴
학명Celastrus orbiculatus Thunb.
별명본지낭, 본지쿨(제주)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일본; 전국 분포.
전체크기길이 10m.
형태
  • 잎은 타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5 ~ 10cm × 3 ~ 8cm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 길이는 1 ~ 2.5cm이다.
  • 꽃은 암수딴그루 또는 잡성주로서, 5 ~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취산꽃차례에 1 ~ 10여 개 달리고, 꽃대 길이는 3 ~ 5mm이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수꽃은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5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며, 지름이 8mm로 노란색이며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황적색 종의로 싸여있고, 9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한다.
  • 줄기는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다. 남사등(南蛇藤) 또는 취화소(臭花椒)라 한다.
서식지반 그늘진 나무 밑에서 생육한다.
개요산지의 숲속에 자라는 낙엽활엽의 덩굴성 관목으로 길이 10m에 이른다. 가지는 갈색 또는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너비 3~8cm이다. 잎끝은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둥글다.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 길이는 1~2.5cm이다. 꽃은 2가화 또는 웅성화로, 5~6월에 황록색으로 핀다. 1~10여 개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소화경 길이는 3~5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수꽃에는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나 암꽃에는 5개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다. 10월 황색으로 익는다. 한반도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근연종* ▶털노박덩굴(C. stephanotifolia Makino) : 충북 이남에 자라며, 잎 뒷면에 털이 있다.
▶노랑노박덩굴 (for.aureo-arillata OHWI) : 종자가 황색 종의로 싸여 있다.
▶해변노박덩굴 (var.punctatus REHDER ): 잎이 두꺼우며 길이 3-5cm로서 윤채가 있고 예두 미둔단이며 껍질눈이 뚜렷하고 표면의 잎맥이 오목하다. 전남 보길도등의 해변가에 자란다.
▶개노박덩굴 (var.papillosus OHWI.) : 잎 뒷면 맥 위에 주상(柱狀)의 돌기가 있고 일년생가지와 꽃차례가 평활하며 털이 없다.
▶얇은잎노박덩굴 (var.sylvestris NAK.) : 잎의 길이와 나비가 각 10cm이고 엽병이 길이 2.1cm로서 원형이며 얇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51

  • Profile 晴嵐 2023.11.30 22:14:18 촬영일시 : 20231128 경기 안산시 단원구 구봉도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晴嵐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Galaxy S23 Ultra소프트웨어S918NKSU2BWK7촬영일자2023:11:28 12:05:59감도(ISO)64촬영모드프로그램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83337/10000000조리개 값f/2.4촛점거리7900/1000조리개 최대개방252/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6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4000 X 3000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晴嵐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Galaxy S23 Ultra소프트웨어S918NKSU2BWK7촬영일자2023:11:28 12:07:21감도(ISO)64촬영모드프로그램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83337/10000000조리개 값f/2.4촛점거리7900/1000조리개 최대개방252/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6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4000 X 3000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 : 晴嵐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Galaxy S23 Ultra소프트웨어S918NKSU2BWK7촬영일자2023:11:28 12:08:46감도(ISO)64촬영모드프로그램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83337/10000000조리개 값f/2.4촛점거리7900/1000조리개 최대개방252/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6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4000 X 3000

    노박덩굴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북만리화 국가표준식물목록 Forsythia mandschurica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28
왕닭의장풀 국가표준식물목록 Commelina diffusa   닭의장풀과   닭의장풀속   29
갈고리꽃마리 국가표준식물목록 Ancistrocarya japonica   지치과   갈고리꽃마리속   30
설령버들 국가표준식물목록 Salix cacuminis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32
두메홍괴불나무 Lonicera maximowiczii   인동과   인동속   32
깃털장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symbrium irio   배추과   노란장대속   33
긴포마편초 국가표준식물목록 Verbena bracteata   마편초과   마편초속   33
가는쑥부지깽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ysimum macilentum   배추과   쑥부지깽이속   35
물꽃마리 국가표준식물목록 Trigonotis brevipes   지치과   꽃마리속   35
붉은정향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Syringa villosa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35
봄맞이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Cardamine hirsuta   배추과   황새냉이속   35
사막갓 국가표준식물목록 Brassica tournefortii   배추과   배추속   36
북투구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Kirinense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37
쑥부지깽이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Erysimum repandum   배추과   쑥부지깽이속   38
노란별수선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ypoxis aurea   노란별수선과   노란별수선속   39
신꽃창포 국가표준식물목록 Iris neoensata   붓꽃과   붓꽃속   39
좀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Convolvulus chinensis   메꽃과   서양메꽃속   39
가는잎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macrorhynch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41
수우물오리 국가표준식물목록 Alnus incana subsp. tchangbokii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41
숲제비꽃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mongolica   제비꽃과   제비꽃속   4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