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물참대, 토끼풀,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말발도리, 단풍나무, 코스모스,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넓은잎개수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FUJIFILM카메라모델명FinePix S9500 소프트웨어Digital Camera FinePix S9500 Ver1.02촬영일자2006:09:05 12:27:14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420조리개 값f/8.0촛점거리620/100조리개 최대개방300/100노출보정-67/100플래쉬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3488 X 2616

    塞翁之馬

  • 일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곡정초과(Eriocaulaceae) 1속 (피자식물문/백합강/곡정초목)
곡정초속(Eriocaulon) 13종
국명넓은잎개수염
학명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원산지한국
분포한국(양강, 자강, 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중국, 일본
전체크기화경(花莖)의 높이 4-25cm이나 장단의 차이가 심하다.
형태
  • 밑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은 길이 9-10cm이며 밑부분의 나비가 5-10mm로서 점차 좁아지고 9~17맥이 있다.
  • 화경(花莖)은 많이 나오며 높이 4-25cm이나 장·단의 차이가 심하고 끝에 많은 잔꽃으로 이루어진 갈색의 두상화가 1개씩 달리고 꽃은 7~8월에 핀다. 두상화는 연한 갈색이고 반구형 또는 도원추형이며 지름 4-5mm이다. 총포편은 10-12개이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mm, 나비 1.5mm로서 마르면 연한 황갈색으로 되고 끝이 둔하며 화상(花床)에는 보통 털이 없다. 수꽃은 길이 1.5-1.8mm이며 꽃받침과 합생하여 전면이 깊게 갈라지고 뒤쪽은 3개로 얕게 갈라지며 꽃잎은 통처럼 합생하고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흑색이다. 암꽃은 길이 2mm로서 꽃받침 안쪽에 털이 있고 꽃잎은 3개가 떨어져 있으며 안쪽에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 종자는 길이 0.8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며 겉에 갈고리같은 털이 있다.
서식지논이나 못가 등 습지에서 자란다.
개요물가의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모여나며 피침형으로 꽃줄기보다 길며, 잎맥은 11~15개다. 꽃은 8~10월에 반구형의 머리 모양 꽃차례에 달린다. 꽃줄기는 길이 8~23cm, 약간 꼬여 있고 능선은 4~7개다. 모인꽃싸개잎은 10~13장, 긴 타원상 난형, 털이 없다. 수꽃은 꽃차례 가운데에 달리고, 2회 또는 드물게 3회 돌려난다. 암꽃은 수꽃과 어긋나며 달린다. 우리나라 전역과 러시아, 일본, 중국 동북지방에 분포한다.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Ⅴ.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2019)

댓글 7

  • 塞翁之馬 2006.09.14 01:35:05 촬영일시 : 2006, 09, 05 대전 성북동 산림욕장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FUJIFILM카메라모델명FinePix S9500 소프트웨어Digital Camera FinePix S9500 Ver1.02촬영일자2006:09:05 12:26:30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520조리개 값f/8.0촛점거리620/100조리개 최대개방300/100노출보정-67/100플래쉬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3488 X 2616

  • 塞翁之馬 2006.09.14 01:38:30 촬영일시 : 2006, 09, 05 대전 성북동 산림욕장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FUJIFILM카메라모델명FinePix S9500 소프트웨어Digital Camera FinePix S9500 Ver1.02촬영일자2006:09:05 12:27:14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420조리개 값f/8.0촛점거리620/100조리개 최대개방300/100노출보정-67/100플래쉬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3488 X 2616

  • 꽃사랑 2010.10.06 20:46:51 촬영일시 : 20101002 경기 포천시 평강식물원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40D소프트웨어Microsoft Windows Live Photo Gallery14.0.8117.416촬영일자2010:10:03 13:37:24감도(ISO)4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00조리개 값f/7.1촛점거리5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878 X 1253


    * 10-10-07 00:17:24:개수염에서 변경(꽃사랑)

  • Profile 설뫼* 2013.10.15 09:26:20 촬영일시 : 20131012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5 Windows촬영일자2013:10:12 11:21:42감도(ISO)8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60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247/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74원본사진 크기1590 X 1202

  • 박용석 2014.08.31 19:59:58 촬영일시 : 20070903 경기 포천시 수목원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T30촬영일자2007:09:03 12:40:33감도(ISO)125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unknwon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3.5촛점거리633/100조리개 최대개방5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 Profile 바지랑대 2014.09.20 19:48:53 촬영일시 : 20140919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LR-A500소프트웨어DSLR-A500 v1.00촬영일자2014:09:19 14:27:25감도(ISO)8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0/10조리개 최대개방300/100노출보정-1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3 X 681

  • Profile 설뫼* 2014.09.20 23:43:06 촬영일시 : 20140905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넓은잎개수염(Eriocaulon alpestre Hook.f. & Thomson ex K?rn.) : 塞翁之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52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5 Windows촬영일자2014:09:05 15:34:53감도(ISO)2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600/10조리개 최대개방31/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9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74원본사진 크기1738 X 1314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산사나무 [4/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rataegus pinnatifida   장미과   산사나무속   5,120
새박 [8/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lothria japonica   박과   새박속   5,118
각시투구꽃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monanth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5,115
말채나무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nus walteri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5,114
각시둥굴레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humile   백합과   둥굴레속   5,109
보리밥나무 [4/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aeagnus macrophylla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   5,108
눈개승마 [3/5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uncus dioicus   장미과   눈개승마속   5,107
광대싸리 [2/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curinega suffruticosa   대극과   광대싸리속   5,099
다래 [4/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tinidia arguta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5,098
진달래 [3/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hododendron mucronulatum   진달래과   진달래속   5,093
노랑하늘타리 [7/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박과   하늘타리속   5,092
물푸레나무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raxinus rhynchophylla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5,092
앉은부채 [5/7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ymplocarpus koreanus   천남성과   앉은부채속   5,092
콩짜개덩굴 [8/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mmaphyllum microphyllum   잔고사리과   콩짜개덩굴속   5,092
자주개자리 [5/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dicago sativa   콩과   개자리속   5,086
낭아초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ndigofera pseudotinctoria   콩과   땅비싸리속   5,082
산국 [2/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rysanthemum boreale   국화과   쑥갓속   5,073
섬개야광나무 [6/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toneaster wilsonii   장미과   섬개야광나무속   5,064
큰꽃으아리 [4/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aten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5,059
괴불나무 [3/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maackii   인동과   인동속   5,05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