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사과나무, 말똥비름,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해바라기,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피나물, 장미, 층층나무, 미나리냉이, 으름덩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남도현호색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무심거사

현호색과(Fumariaceae) 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양귀비목)
현호색속(Corydalis) 35종
국명남도현호색(한반도특산식물)
학명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분포중부 및 남부
형태
  • 엽형이 다양하다.
  • 내화판의 정단이 V자 모양으로 함몰
  • 넓고 평평한 방추형 열매, 삭과내의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
개요산지에서 높이 6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줄기는 흰색이고 지름이 1~2cm다. 잎은 두 갈래 또는 세 갈래로 갈라지며 빗살 모양 또는 선형이다. 꽃은 흰색 또는 흰빛이 도는 파란색이며, 길이 1.2~1.6cm이다. 꽃자루는 길이 2cm 정도이고 열매가 달릴 때는 약간 길어지기도 한다. 한반도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남도현호색은 윗입술꽃잎의 가운데가 V자 형이며, 아랫입술꽃잎이 각시현호색보다 좁은 특징으로 구별한다. 덩이줄기를 약용한다.
참고문헌오병운 , 장창기, 윤창영 : 한국식물분류학회 , 식물분류학회지 | 34권 3호

댓글 6

  • Profile 무심거사 2013.03.28 23:43:02 촬영일시 : 20130328 경북 경산시 자인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 현촌 2013.03.30 14:14:58 촬영일시 : 20130328 경북 경산시 계정숲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아래윗 입술사이에 하트형 돌출물 가운데 브이자 쌔기모양이

    있는 것이 특징.

  • 고들빼기 2014.03.15 21:50:58 촬영일시 : 20140315 경북 경산시 남산면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 산들꽃 2015.03.31 11:44:48 촬영일시 : 20150330 경북 경주시 토함산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5.04.12 22:32:05 촬영일시 : 20150410 경북 경주시 토함산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 Profile 도리뫼 2018.05.10 20:19:44 촬영일시 : 20180507 강원 태백시 대덕산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 무심거사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초종용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banche coerulescens   열당과   초종용속   2,622
떡쑥 [4/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gnaphalium affine   국화과   떡쑥속   4,397
해홍나물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uaeda maritima   명아주과   나문재속   4,855
퉁퉁마디 [2/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licornia perennans   명아주과   퉁퉁마디속   5,253
끈적털갯개미자리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ergularia bocconei   석죽과   갯개미자리속   261
벳지 [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cia villosa   콩과   나비나물속   4,039
멍석딸기 [5/5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ubus parvifolius   장미과   산딸기속   4,345
새우난초 [2/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nthe discolor   난초과   새우난초속   5,254
큰구슬붕이 [4/6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ntiana zollingeri   용담과   용담속   4,209
비비추난초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pularia japonica   난초과   비비추난초속   2,599
호자덩굴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tchella undulata   꼭두선이과   호자덩굴속   4,847
금난초 [6/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phalanthera falcata   난초과   은대난초속   3,312
흰양귀비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paver amurense   양귀비과   양귀비속   4,179
정향풀 [9/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msonia elliptica   협죽도과   정향풀속   5,960
오랑캐장구채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repens   석죽과   장구채속   2,536
양뿔사초 [6/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capricornis   사초과   사초속   3,043
산파 [5/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maximowiczii   백합과   부추속   3,051
산솜다리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ontopodium leiolepis   국화과   솜다리속   3,537
산마늘 [3/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microdictyon   백합과   부추속   4,043
부채붓꽃 [4/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ris setosa   붓꽃과   붓꽃속   3,25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