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단풍나무, 물참대,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말발도리, 실별꽃,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긴잎조팝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긴잎조팝나무(Spiraea media Schmidt) : 설뫼*

    설뫼*

  • 낙엽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총상화서,
장미과(Rosaceae) 4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조팝나무속(Spiraea) 21종
국명긴잎조팝나무
학명Spiraea media Schmidt
원산지한국
분포▶몽골, 러시아, 중앙아시아, 유럽동부에 분포한다.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가 1.5m 정도로 자란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3-3.5cm로서 상반부에 몇 개의 깊은 톱니가 있거나 전혀 없고 양면에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엽병은 길이 1-2cm이다.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5-8mm로서 백색이고 산형상 총상꽃차례는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털이 달려 있는 새가지에 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난상 삼각형이며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둥글며 지름 3-4.5mm이고 수술보다 짧으며 백색이고 수술은 많다.
  • 골돌은 털이 있고 뒤로 젖혀진 암술대가 끝에 달린다. 7∼8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가 곧게 선다. 가지는 회갈색이고 어릴 때는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서식지숲변두리 암석지에서 자란다.
개요산기슭에서 높이 1.5m 정도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가지에 어릴 때는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3.0~3.5cm이다. 잎 상반부에 몇 개의 깊은 톱니가 있거나 전혀 없고, 양면에 털이 없거나 거의 없다. 잎자루는 길이 1~2mm이다. 꽃은 5~6월경에 피며, 지름 5~8mm로서 흰색이고 산형상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차례에는 털이 없거나 거의 없다. 꽃받침잎은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둥글며 수술보다 짧고 흰색이며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골돌과, 8월경에 익으며 털이 있다. 우리나라 북부지방 백두산 지역에 나며, 몽골, 일본, 중국, 유럽, 중앙아시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꽃이 피는 가지가 작년에 발달한 가지의 눈에서 발달하며, 잎의 가장자리가 잎의 상부를 제외하고 톱니가 없이 매끈한 점에서 다른 조팝나무속 식물들과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거나 밀원식물로 이용하며, 줄기는 공예품을 만드는 데 쓴다. 정화조팝나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3

  • Profile 바지랑대 2013.08.08 10:34:56 촬영일시 : 20130807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긴잎조팝나무(Spiraea media Schmidt) : 설뫼*

  • Profile 설뫼* 2013.08.08 21:52:20 촬영일시 : 20130807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

    긴잎조팝나무(Spiraea media Schmidt) : 설뫼*

  • 현촌 2014.01.07 17:15:28 촬영일시 : 20130807 경기 포천시 국립수림원

    긴잎조팝나무(Spiraea media Schmidt) : 설뫼*

    .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붉노랑상사화 [5/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oris flavescens   수선화과   상사화속   3,999
돌콩 [5/5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ine max subsp. soja   콩과   돌콩속   3,996
뻐꾹채 [4/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uzea uniflora   국화과   뻐꾹채속   3,995
좀바위솔 [2/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minuta   돌나물과   바위솔속   3,995
회나무 [2/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onymus sachalinensi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3,995
서양수수꽃다리 [2/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yringa vulgaris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3,992
백량금 [1/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disia crispa   자금우과   자금우속   3,991
개잎갈나무 [6/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drus deodara   소나무과   개잎갈나무속   3,990
민졸방제비꽃 [6/1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acuminata for. glaberrima   제비꽃과   제비꽃속   3,990
점현호색 [3/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dalis maculata   현호색과   현호색속   3,990
개감수 [8/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orbia sieboldiana   대극과   대극속   3,989
곰의말채나무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nus macrophylla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3,989
정향나무 [4/21]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3,988
으름덩굴 [5/7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kebia quinata   으름덩굴과   으름덩굴속   3,986
서양민들레 [3/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araxacum officinale   국화과   민들레속   3,984
일월비비추 [5/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osta capitata   백합과   비비추속   3,983
나도바람꽃 [6/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nemion raddeanum   미나리아재비과   나도바람꽃속   3,980
바위고사리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dontosoria chinensis   비고사리과   바위고사리속   3,978
층층나무 [4/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nus controversa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3,978
흰물봉선 [4/5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mpatiens textorii var. koreana   봉선화과   봉선화속   3,97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