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해당화, 금낭화, 토끼풀,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정향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개벼룩,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구주소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상록침엽교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Male-yellow / Female-violetish
소나무과(Pinaceae) 6속 (나자식물문/소나무강/소나무목)
소나무속(Pinus) 15종
국명구주소나무
학명Pinus sylvestris L.
원산지유럽원산
분포조림용으로 식재
전체크기높이 25-40m
형태
  • 바늘형이고, 2개씩 모여 달리며, 길이는 32.1~72.4mm, 너비는 1~2mm이다. 비틀리고, 회청색이며, 횡단면은 반월형이다. 수지구는 12개 정도가 발달하며 외위이다. 유관속은 2개가 발달하며 양옆으로 약간 떨어져 분포한다. 향축면에는 양쪽으로 3줄의 기공선이 각각 발달하며, 분화구형 기공을 갖는다. 잎가장자리는 잔톱니형으로 발달한다.
  • 개화기는 4~5월, 암수한그루, 수꽃은 장타원형이고, 노란색이다. 암꽃은 난형이며, 자주색 빛이 돈다.
  • 원주상 장타원형이고, 1~3개씩 달린다. 길이는 29.7~56.2(70)mm, 너비는 18.3~28.6mm이고, 짧은 대가 있다. 비후부는 편평하지만 때로는 비후해져 피라미드형으로 되며, 배꼽부에 작은 가시 또는 흔적 같은 가시가 있다. 실편의 개수는 68개 내외이고, 길이는 15.2~25.5mm, 너비는 7.3~12.1mm이다. 종자는 길이 4.7~5.5mm, 너비 2.6~2.8mm이며, 종자날개는 길이 15.1~17.5mm, 너비 5.2~7.2mm이다. 결실기는 다음해 9~10월이다.
  • 높이가 25-40m에 달하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수피는 적색 또는 적갈색으로 얇고 밋밋하지만 밑부분이 흑색으로 됨. 소지는 회황색이며 동아는 긴 타원상 난형으로서 갈색이고 수지가 묻는다.
서식지해발 1,200~2,600m의 산
개요산지, 강가에 식재하는 상록성 바늘잎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40m에 이르며 나무껍질은 붉은 갈색이고, 세로로 벗겨진다. 가지는 사방으로 퍼지고 어린가지는 회갈색이다. 잎은 2개씩 모여나오며, 단면은 반원형이다.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5월에 달린다. 수구화수는 장타원형, 노란색으로 새 가지 밑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암구화수는 난형, 보라색으로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구과, 기둥 모양 타원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식재하며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각지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하며, 20여 변종이 있다. 방크스소나무에 비해 잎이 길고 비틀리며, 열매는 잎의 길이와 비슷하고 구부러지지 않으며, 풍겐스소나무에 비해 실편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지 않아 구분된다. 건축재, 선박재, 가구재로 쓴다. 구라파소나무, 구라파적송, 숲소나무라고도 한다.
동정키구주소나무의 변종 중 동아가 난형이며, 잎이 더 가느다란 것을 장백송 혹은 미인송[P. sylvestris var. sylvestriformis (Takenouchi) W.C.Cheng & C.D.Chu in W.C.Cheng & L.K.Fu]이라 하며, 백두산 주변 이도백하에 주로 분포한다. 미인송은 국내 금강송과 같이 줄기가 곧게 뻗어 목재 및 관상수로 가치가 높아 중국에서 보호수종으로 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4

식물이름 학명 조회
구주소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sylvestris   소나무과   소나무속   2,349
테에다소나무 [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taeda   소나무과   소나무속   2,359
일본전나무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firma   소나무과   전나무속   2,508
잎갈나무 [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rix gmelinii var. olgensis   소나무과   잎갈나무속   2,704
눈잣나무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pumila   소나무과   소나무속   2,958
분비나무 [5/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nephrolepis   소나무과   전나무속   2,976
금강소나무 [0/10] Pinus densiflora for. erecta   소나무과   소나무속   3,108
가문비나무 [5/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cea jezoensis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3,186
섬잣나무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parviflora   소나무과   소나무속   3,215
백송 [4/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bungeana   소나무과   소나무속   3,532
일본잎갈나무 [4/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rix kaempferi   소나무과   잎갈나무속   3,594
곰솔 [4/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thunbergii   소나무과   소나무속   3,686
독일가문비 [4/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cea abies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3,704
솔송나무 [6/2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suga sieboldii   소나무과   솔송나무속   3,775
잣나무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koraiensis   소나무과   소나무속   3,859
리기다소나무 [2/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rigida   소나무과   소나무속   3,927
개잎갈나무 [6/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drus deodara   소나무과   개잎갈나무속   3,988
스트로브잣나무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strobus   소나무과   소나무속   4,031
종비나무 [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cea koraiensis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4,056
구상나무 [5/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koreana   소나무과   전나무속   4,33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