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고슴도치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버들피리

    버들피리

  •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통통배

    통통배

  •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무심거사

  • 한해살이풀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취산화서,
피나무과(Tiliaceae) 5속 (피자식물문/목련강/아욱목)
고슴도치풀속(Triumfetta) 1종
국명고슴도치풀
학명Triumfetta japonica Makino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 중부 이남.
전체크기높이 60-130cm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은 길이 0.5-10cm이고 엽신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3-10cm로서 가장자리에 뭉뚝한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좁은 달걀모양으로서 짧으며 양면, 특히 맥 위에 굳은 털이 있고 탁엽은 선형이며 젖혀진다.
  • 취산꽃차례는 액생하고 짧으며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5mm정도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넓은 선형이고 털이 다소 있으며 윗부분 뒤쪽 바로 밑에 털이 있는 돌기가 있고 꽃잎은 5개, 수술 10개, 암술은 1개이다.
  •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지름 6-7mm로서 겉에 갈고리 같은 가시로 덮여 있기 때문에 고슴도치풀이라고 하며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9월에 익는다.
  • 높이 60-130cm이고 줄기는 기둥모양이며 윗부분에 단모 또는 2개로 갈라진 털이 있다.
서식지들이나 황무지에서 자란다.
개요산기슭, 길가, 빈터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60~12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3~10cm이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는 세모난 톱니 모양이다. 잎 아래에서 3개의 잎맥이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1~5(~10)cm로 비교적 길다. 턱잎은 선형으로 끝은 날카로우며 뒤로 말린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빽빽하게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 끝에는 가시로 된 작은 털이 있다. 꽃잎은 5장으로 꽃받침잎보다 짧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 둥글며, 갈고리 모양의 가시털이 있다. 9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까치깨속에 비해 열매는 둥글고, 갈고리 모양의 가시털이 있으므로 구별된다.
근연종* 까치깨속에 비해 열매는 둥글고, 갈고리 모양의 가시털이 있으므로 구별된다.
동정키전체에 잔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기둥 모양, 껍질은 섬유질
열매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많아 고슴도치풀이라 함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댓글 16

  • 버들피리 2006.08.22 17:13:26 촬영일시 : 2006.08.20 경기도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kplant1 2007.03.09 11:47:54

    드물게 보는 잡초로 그 열매가 고슴도치 모양.

  • 버들피리 2006.08.22 17:14:42 촬영일시 : 2006.08.20 경기도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kplant1 2007.03.09 11:50:54 촬영일시 : 8월 가평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양지에 자라며, 열매에 고슴도치 같은 가시가 있어 이름붙여짐

  • kplant1 2007.06.27 17:05:28 촬영일시 : 7월 경기도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양지에 드물게 나는 잡초, 열매에 가시가 많이 나 그 이름이 지어졌다.

  • 塞翁之馬 2007.08.25 22:06:01 촬영일시 : 2007, 08,23 장태산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塞翁之馬 2007.08.25 22:08:54 촬영일시 : 2007, 08,23 장태산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통통배 2009.09.01 15:06:18 촬영일시 : 2009.08 경기 가평군 .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통통배 2009.09.01 15:06:46 촬영일시 : 2009.08 경기 가평군 .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0.10.16 09:01:19 촬영일시 : 20101015 경기 남양주시 운길산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10.12.02 16:23:30 촬영일시 : 20101015 경기 남양주시 운길산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Profile 무심거사 2011.10.13 00:52:20 촬영일시 : 20111012 경기 가평군 꽃무지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Profile 도리뫼 2012.10.20 18:37:26 촬영일시 : 20121020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sg3983 2013.08.19 14:37:44 촬영일시 : 20130815 경기 고양시 덕양구 광릉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곰배령 2014.03.17 19:23:33 촬영일시 : 20130902 강원 영월군 밭뚝에서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14.09.17 10:31:45 촬영일시 : 20140912 경기 파주시 군내면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 Makino) : 무심거사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8

식물이름 학명 조회
까치깨 [3/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choropsis psilocarpa Harms & Loes.   벽오동과   까치깨속   4,069
좀장구밤나무 Grewia parviflora for. angusta   피나무과   장구밤나무속   90
장구밥나무 [6/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rewia biloba   피나무과   장구밤나무속   4,225
뽕잎피나무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taquetii   피나무과   피나무속   2,930
피나무 [3/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amurensis   피나무과   피나무속   3,014
구주피나무 [2/8]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kiusiana   피나무과   피나무속   2,937
보리자나무 [3/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miqueliana   피나무과   피나무속   2,406
찰피나무 [1/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mandshurica   피나무과   피나무속   3,168
털피나무 [2/9]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rufa   피나무과   피나무속   2,731
염주나무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mandshurica var. megaphylla   피나무과   피나무속   2,105
고슴도치풀 [3/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umfetta japonica   피나무과   고슴도치풀속   4,087
섬피나무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insularis   피나무과   피나무속   2,075
개염주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semicostata   피나무과   피나무속   1,702
둥근잎염주나무 Tilia megaphylla for. subintegra   피나무과   피나무속   1,821
연밥피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koreana   피나무과   피나무속   1,382
웅기피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lia mandshurica var. ovalis   피나무과   피나무속   1,613
평안피나무 Tilia amurensis var. grosseserrata   피나무과   피나무속   1,503
황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chorus capsularis   피나무과   황마속   1,496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