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황기, 말발도리, 비비추, 낙우송, 장미, 산딸나무, 느티나무, 토끼풀, 실별꽃, 회화나무, 봉숭아, 왕벚나무, 팽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검정비늘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상록다년초
개고사리과(Athyriaceae) 4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주름고사리속(Diplazium) 12종
국명검정비늘고사리
학명Diplazium virescens Kunze
별명제주새고사리
원산지한국
분포제주특별자치도에서 자란다.
형태
  • 엽병은 길이 40-60㎝로서 밑부분이 흑색이며 비늘조각은 선상 피침형이고 윤채가 있으며 흑색으로서 가장자리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엽신은 밑부분의 것은 이회깃모양겹잎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30-60㎝로서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다. 우편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대가 길고 잔깃조각은 피침형 또는 삼각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의 앞쪽은 절저, 뒷쪽은 심장저로서 거의 대가 없거나 짧은 대가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우상으로 갈라짐. 열편은 원두이며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고 맥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각 열편에 1개씩 들어 있다.
  • 포자낭군은 소맥 중앙부에 달리고 주맥과 가장자리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 가까이에 붙는다. 포막은 짧은 선형으로 포자낭이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끝부분에 흑색 비늘조각이 달리고 잎이 모여나기.
서식지▶상록수림에서 자란다.
개요상록수림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두께 8mm쯤, 끝부분에 비늘조각이 많이 달린다. 비늘조각은 피침형으로 길이 5mm쯤이고, 검은 갈색으로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30~50cm, 아랫부분에 검은색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난다. 비늘조각은 오래 남아 있고 윤기가 있으며 가장자리는 잔가시 모양이다. 잎몸은 삼각상 난형, 길이 30~70cm, 2회 깃꼴겹잎이다. 아래쪽 우편에 긴 자루가 있다. 포자낭군은 긴 타원형 또는 짧은 선형, 소우편 가장자리와 주맥의 중간 또는 주맥에 치우쳐 달린다. 포막의 가장자리는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제주도에 나며, 베트남,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섬잔고사리와 달리 잎자루 아랫부분에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리고 오랫동안 남아 있으며, 우편의 맥은 대부분 2갈래로 갈라지므로 구분된다. 제주새고사리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4)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2

식물이름 학명 조회
제주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Diplazium taquetii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06
깃주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mettenian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202
섬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hachijoens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087
주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wichura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130
큰개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mesosor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195
두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sibiric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199
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chinens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258
검정비늘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virescens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375
내장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squamiger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448
민두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sibiricum var. glabr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457
큰섬잔고사리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nipponic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465
개톱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okudaira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474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