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토끼풀, 단풍나무, 황기, 말발도리, 물참대, 실별꽃, 장미, 해당화, 금낭화,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이끼,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거문도닥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몽블랑

    몽블랑

  •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kplant1

  • 낙엽소관목이다.
  • Rose pink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5속 (피자식물문/목련강/도금양목)
산닥나무속(Wikstroemia) 3종
국명거문도닥나무(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
학명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분포일본, 타이완 / 한국(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남해군; 부산시 동래구)
전체크기높이는 1m 내외이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타원형 또는 긴타원모양이며, 양끝 모두 예리하거나 또는 뭉툭한 형이다. 예거치가 없고, 길이 2~4.5cm, 폭 1~2cm이며, 뒷면 연변와 맥위에 드물게 털이 있다. 표면은 진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밀생한다.
  • 갈라진 가지 끝과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총상꽃차례를 만들고, 통상의 꽃이 여러 개 달리며, 화경에 털이 많다. 양성꽃으로 담홍색이고, 꽃받침통은 길이 7~12mm, 폭 1~1.5mm로 끝이 4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열편은 좁은 달걀모양으로 길이 3~4mm, 폭 1.5~2.5mm이다. 수술은 길이 각각 1~1.3mm로 8개인데, 4개씩 상하의 이열을 이루고, 상부의 수술은 판통의 입구에, 하부의 수술은 판통의 중앙 윗쪽에 붙는다. 암술은 길이 2.5~4mm로 꽃받침통의 1/3정도 길이이고, 씨방은 긴털이 밀생하며, 암술머리는 편구형이다. 꽃받침대는 인편상으로 심열한다.
  • 열매는 수과로써 떨어지지 않는 꽃받침통속에 생기며, 길이 약 4mm정도의 난상방추형이다. 종자는 약 4mm로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 돌출된 능선을 갖는다. 9~11월?
  • 가지는 원줄기 아래쪽에서 분지해 모여나기하고, 위쪽에서 원추상의 많은 일년생가지를 내며, 연녹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한다. 털이 있다가 없어지며, 새가지의 윗부분은 매년 대부분 말라 죽는다.
서식지숲의 가장자리
개요해안가에 자생하는 낙엽 작은큰키나무로 높이는 1m 정도이다. 잔가지에는 털이 많으며 적갈색이다. 가지는 원줄기 아래쪽에서 분지해 뭉쳐나고, 위쪽에서 원추상의 많은 소지를 내며, 연녹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한다. 털이 있다가 없어지며, 새가지의 윗부분은 매년 대부분 말라 죽는다. 잎은 어긋나고 막질,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1.5~6.0cm이다. 양 끝 모두 예리하거나 또는 뭉툭한 형이다. 예거치가 없고, 뒷면 가장자리와 맥 위에 드물게 털이 있다. 꽃은 양성화이며 7~8월에 통상의 담홍색 꽃이 여러 개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에 털이 많다. 화반은 인편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긴 타원형의 수과이며 양 끝이 좁고 9~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여수, 경상남도 남해, 부산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참고문헌1) 한국 야생란의 종류와 지리적 분포에 관한 연구 (이종석, 1984)

댓글 6

  • 몽블랑 2007.09.07 22:08:28 촬영일시 : 2007.8 부산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부산지역에도 일부지역서만 자생한다고 합니다.

  • kplant1 2007.10.02 20:06:16 촬영일시 : 9월 부산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희귀한 떨기나무

  • kplant1 2007.10.02 20:10:49 촬영일시 : 9월 부산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희귀한 갈잎떨기나무

  • 박용석 2013.04.06 07:30:09 촬영일시 : 20070921 부산 기장군 해변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 Profile 무심거사 2013.10.14 16:56:37 촬영일시 : 20131012 울산 동구 염포산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 산들꽃 2021.08.24 06:59:53 촬영일시 : 20210823 부산 기장군 월전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old & Zucc.) Maxim.) : kplant1

    거문도닥나무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0

식물이름 학명 조회
산닥나무 [4/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Wikstroemia trichotoma   팥꽃나무과   산닥나무속   4,855
두메닥나무 [6/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   2,548
피뿌리풀 [9/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era chamaejasme   팥꽃나무과   피뿌리풀속   3,279
팥꽃나무 [4/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Wikstroemia genkwa   팥꽃나무과   산닥나무속   6,528
서향 [2/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phne odora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   3,783
백서향 [3/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phne kiusiana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   5,212
제주백서향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phne jejudoensis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   836
삼지닥나무 [3/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dgeworthia chrysantha   팥꽃나무과   삼지닥나무속   5,138
거문도닥나무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Wikstroemia ganpi   팥꽃나무과   산닥나무속   2,624
아마풀 [3/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arthron linifolium   팥꽃나무과   아마풀속   3,376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