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물참대, 토끼풀, 실별꽃, 장미,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이끼,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갯천문동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Light yellowish green
백합과(Liliaceae) 33속 (피자식물문/백합강/백합목)
비짜루속(Asparagus) 7종
국명갯천문동
학명Asparagus brachyphyllus Turcz.
분포황해(구미포)
전체크기길이 1~2m이다.
형태
  • 잎은 인편상으로 길이 4~5mm이고 엽상지는 잎겨드랑이에 1~3개씩 속생하며 선형으로 세모가 지고 길이 10~20mm이며 잔가지에는 능선이 많고 잎이 작다.
  • 꽃은 2가화이고 5~6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2~3개씩 나며 꽃대는 길이 2~5mm이고 중앙에 관절이 있다. 화피는 종형이고 화피편은 타원형으로 길이 3~4mm이며 수술은 화피보다 짧다.
  •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고 오백색으로 익는다.
  • 줄기는 줄기가 다소 기고 잔 흑점이 많다.
  • 근경은 짧고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4방으로 퍼진다.
서식지해변 산기슭
개요The distribution of Asparagus brachyphyllus in South Korea was not confirmed in the present study.
외부형태와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한국산 비짜루속 식물의 분류학적 고찰 : 조성현 ( Seong Hyun Cho ) , 김영동 ( Young Dong Kim ) - 한국식물분류학회 , 식물분류학회지 | 42권 3호
참고문헌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14

  • kplant1 2007.04.03 19:51:26 촬영일시 : 월 변산

    도감에는 열매가 회백색으로 익는다고 싀여 있는데, 붉게 익는 것 밖에 관찰하지 못했음.
    * 08-12-02 13:41:50 : 천문동에서 변경(kplant1)

  • Profile habal 2007.04.03 23:32:45

    귀한자료, 잘 보았습니다.

  • kplant1 2007.04.03 19:53:09 촬영일시 : 월 제주

    주로 바닷가에서 자람.
    * 08-12-02 13:41:22 : 천문동에서 변경(kplant1)

  • 까박 2008.12.21 05:50:24

    이 식물이 제주도에서도 자라나요??? ㅇㅇ

  • 두레 2008.06.19 11:47:25 촬영일시 : 2008년6월 경북 포항시 남구 대보 해안가

  • Profile 능선따라 2009.04.25 20:52:13 촬영일시 : 2008.7.27 부산 영도구 태종대

  • 통통배 2009.05.11 15:31:25 촬영일시 : 2009.05 제주 서귀포시 .

  • 통통배 2009.05.11 15:31:49 촬영일시 : 2009.05 제주 서귀포시 .

  • Profile 능선따라 2011.06.17 01:14:24 촬영일시 : 20110517 부산 해운대구 동백섬

  • Profile 바지랑대 2011.07.03 09:21:55 촬영일시 : 20110702 충남 태안군 원북면

  • 꽃사랑 2011.07.03 17:44:05 촬영일시 : 20110702 충남 태안군 원북면

  • Profile johan 2011.07.03 18:21:15 촬영일시 : 20110702 충남 태안군 원북면

  • Profile 설뫼 2011.07.09 13:36:31 촬영일시 : 20110702 충남 태안군 원북면

  • 통통배 2012.06.19 15:56:38 촬영일시 : 20120609 제주 서귀포시 .

    열매를 추가합니다.

    이건 비짜루와는 다르게 아주 억세고 거칩니다.

    그리고 열매 달림이 달라보이더라구요.

    위 곷사진에 덧붙여 추가합니다.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산사나무 [4/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rataegus pinnatifida   장미과   산사나무속   5,120
새박 [8/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lothria japonica   박과   새박속   5,119
각시투구꽃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monanth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5,115
말채나무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nus walteri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5,114
각시둥굴레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humile   백합과   둥굴레속   5,109
눈개승마 [3/5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uncus dioicus   장미과   눈개승마속   5,109
보리밥나무 [4/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aeagnus macrophylla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   5,108
광대싸리 [2/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curinega suffruticosa   대극과   광대싸리속   5,099
다래 [4/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tinidia arguta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5,098
진달래 [3/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hododendron mucronulatum   진달래과   진달래속   5,093
노랑하늘타리 [7/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박과   하늘타리속   5,092
물푸레나무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raxinus rhynchophylla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5,092
앉은부채 [5/7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ymplocarpus koreanus   천남성과   앉은부채속   5,092
콩짜개덩굴 [8/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mmaphyllum microphyllum   잔고사리과   콩짜개덩굴속   5,092
자주개자리 [5/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dicago sativa   콩과   개자리속   5,087
낭아초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ndigofera pseudotinctoria   콩과   땅비싸리속   5,082
산국 [2/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rysanthemum boreale   국화과   쑥갓속   5,073
섬개야광나무 [6/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toneaster wilsonii   장미과   섬개야광나무속   5,064
큰꽃으아리 [4/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ematis patens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5,059
괴불나무 [3/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maackii   인동과   인동속   5,05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