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토끼풀, 장미, 해바라기, 해당화, 금낭화,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정향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봉숭아,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갯강아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청암

    청암

  •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통통배

  • 1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수상화서,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강아지풀속(Setaria) 10종
국명갯강아지풀
학명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원산지일본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는 20-70㎝이다.
형태
  • 엽신은 길이 4~7cm, 너비 4mm, 양면에 털이 없다. 4~7cm 4mm 엽초는 기부까지 갈라지며 등 쪽에 긴 털이 성기게 난다. 엽설은 막질부가 없이 털이 줄지어 난다.
  • 응축원추화서이다. 화서는 장타원형~난형, 길이 1~4cm, 소수의 기부에 10~25개의 자모가 있고 자모는 녹색~갈색, 길이 8~10mm이다. 소수는 길이 2.0~2.5mm, 2개의 소화가 있다. 제1포영은 소수 길이의 1/3~2/5, 3맥, 기부는 소수 기부를 감싼다. 제2포영은 소수 길이와 같고 5맥이 있다. 제1소화는 퇴화되어 불임, 제2소화는 임성이다. 제1소화 호영은 소수와 같은 크기이고 5맥이 있다. 제2소화 호영은 소수와 같은 길이이고 혁질로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는 내영을 감싼다. 제2소화 내영은 안쪽으로 말리고 경질이다.
  • 영과
  • 줄기는 아래쪽에서 갈라져 직립하며 높이 5~25cm, 5~6개의 마디가 있다. 5~25cm
서식지바닷가 모래땅이나 바위 위에서 자란다.
개요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밑부분만 구부러진다. 잎집의 가장자리에는 센털이 있다. 잎몸은 선형, 편평하며 길이 5~25cm, 폭 3~16mm이다. 원추꽃차례는 응축되어 원주형이고 길이 2~10cm, 곧추선다. 작은이삭은 난형, 길이 2~2.5mm, 아래의 이삭자루에 붙어 있는 가시털은 길이 1cm 이상이고 풀빛이 도는 누런색 또는 자주색을 띤다. 포영은 난형이고 제1포영은 길이 0.8~1mm, 제2포영은 길이 2~2.4mm이다. 외영과 내영은 길이 2mm 정도이다. 꽃은 8~11월에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원변종에 비해 바닷가에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이삭자루에 붙은 가시털이 길고 꽃밥이 연한 갈색이므로 구분된다. 좀강아지풀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강아지풀
동정키강아지풀(S. viridis)에 비해 화서는 길이 1~4cm, 자모는 소수가 감추어질 정도로 밀집되었고 해안 모래땅이나 바위에 자란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9

  • 청암 2008.07.22 16:03:51 촬영일시 : 08.7.22 경기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해수욕장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 통통배 2008.07.29 17:07:07 촬영일시 : 2008.7 전북 부안군 .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 꽃사랑 2009.01.27 23:31:21 촬영일시 : 2008.11.8 인천 남동구 남촌동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 Profile habal 2009.07.12 22:59:28 촬영일시 : 2009.07.11. 경기 화성시 대부도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 Profile habal 2009.07.12 23:00:37 촬영일시 : 2009.07.11. 경기 화성시 대부도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 고들빼기 2009.08.06 16:48:56 촬영일시 : 2009.8.5 전북 부안군 고사포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 Profile 무심거사 2012.07.05 23:49:49 촬영일시 : 20120621 제주 서귀포시 외돌개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 산들꽃 2012.08.11 17:29:17 촬영일시 : 20120803 부산 영도구 태종대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영덕 장사해수욕장부근

  • Profile 도리뫼 2015.08.16 12:38:54 촬영일시 : 20150810 제주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갯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P.Beauv.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samura & Nemoto) : 통통배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섬강개갓냉이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rippa apetala   배추과   갓냉이속   1,307
흰강낭콩 [0/11] Phaseolus multiflorus var. albus   콩과   강낭콩속   2,949
붉은강낭콩 [2/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multiflorus   콩과   강낭콩속   3,813
덩굴강낭콩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vulgaris   콩과   강낭콩속   2,707
강낭콩 [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콩과   강낭콩속   2,760
주름금강아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Setaria glauca var. dura   벼과   강아지풀속   1,188
조아재비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chondrachne   벼과   강아지풀속   1,495
[3/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italica   벼과   강아지풀속   3,566
유럽강아지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erticillata   벼과   강아지풀속   1,353
수강아지풀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subsp. pycnocoma   벼과   강아지풀속   3,337
금강아지풀 [3/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pumila   벼과   강아지풀속   3,401
갯강아지풀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벼과   강아지풀속   2,306
강아지풀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벼과   강아지풀속   4,043
가을강아지풀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faberi   벼과   강아지풀속   3,678
가는금강아지풀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pumila subsp. pallide-fusca   벼과   강아지풀속   1,658
나도개감채 [5/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loydia triflora   백합과   개감채속   4,063
개감채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loydia serotina   백합과   개감채속   2,536
참새발고사리 [1/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monomachii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2,828
지리산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Athyrium excelsius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360
암뱀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clivicola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34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