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말똥비름,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개가지고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개가지고비고사리(Coniogramme × fauriei Hieron.)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12:02:15 11:48:23촬영자moohim감도(ISO)400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4.0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무심거사

  •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봉의꼬리과(Pteridaceae) 8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고비고사리속(Coniogramme) 3종
국명개가지고비고사리
학명Coniogramme × fauriei Hieron.
별명개가지고사리
원산지일본
분포전남, 제주
형태
  • 길이 25~60cm로 연한 녹색이며 등쪽이 자갈색을 띠기도 한다. 기부의 인편은 다갈색의 피침형으로 길이 3~4mm이다. 양지질 또는 초질이며 난상장타원형으로 2회우상복엽이고 길이 40~60cm, 너비 20~40cm로 측우편과 비슷한 정우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 세거치가 있으며 엽맥은 대개 유리맥으로 간혹 중륵 근처에서 서로 연결되어 드문드문 망상맥을 이루고 측맥의 끝이 잎 가장자리에 이르지 못한다.
  • 포자낭군은 측맥을 따라 달리고 가장자리까지 가깝게 닿는 것도 있다.
  • 옆으로 뻗고 지름 4.1~5.6mm이며 인편이 붙는다. 인편은 막질의 다갈색 피침형으로 길이 3~4mm이다.
  • 굵은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오고 연한 갈색 인편이 있다.
서식지산지의 숲 밑
개요숲속에 자라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지름 4~5mm, 비늘조각은 어두운 갈색 막질로 피침형이며 길이 3~4mm다. 잎자루는 길이 25~60cm, 연한 녹색이며 아랫부분의 비늘조각은 피침형으로 길이 3~4mm, 검은 갈색이다. 잎몸은 난상 긴 타원형으로 잎자루보다 길고 길이 40~60cm, 폭 20~40cm,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맥은 엽축 가까이에 그물맥을 이룬다. 포자낭군은 깃조각 잎맥을 따라 길게 붙으며, 끝이 잎 가장자리 근처까지 이른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고비고사리와 가지고비고사리의 잡종이며, 고비고사리는 나란히맥이고 가지고비고사리는 완전한 그물맥이므로 구분된다.
근연종* ▶고비고사리(C. intermedia): 엽맥은 잎 가장자리까지 이어지며 유리맥이다.
▶가지고비고사리(C. japonica): 중륵 근처의 엽맥은 망상맥을 이룬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1

  • Profile 무심거사 2012.02.17 22:09:58 촬영일시 : 20120215 해외 일본 대마도 미타케산

    개가지고비고사리(Coniogramme × fauriei Hieron.)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12:02:15 11:48:23촬영자moohim감도(ISO)400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0조리개 값f/4.0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9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고비고사리와 가지고비고사리의 잡종으로 엽맥이 중륵부근에서 간혹연결되어 망상맥을 이루고 측맥끝이 잎가장자리에 이르지 못한다.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강화황기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ragalus sikokianus   콩과   황기속   1,757
강활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reflexa   산형과   당귀속   3,731
개가시나무 [8/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gilva   참나무과   참나무속   2,876
개가지고비고사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niogramme × fauriei   고비고사리과   고비고사리속   3,332
개갈퀴 [3/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alium maximowiczii   꼭두선이과   갈퀴덩굴속   3,134
개감수 [8/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orbia sieboldiana   대극과   대극속   3,988
개감채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loydia serotina   백합과   개감채속   2,536
개감초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yrrhiza pallidiflora   콩과   감초속   1,602
개갓냉이 [3/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rippa indica   배추과   갓냉이속   3,215
개고사리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niponicum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3,687
개곽향 [2/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eucrium japonicum   꿀풀과   곽향속   3,721
개구리갓 [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ternat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2,561
개구리미나리 [2/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tachiroei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4,052
개구리발톱 [5/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miaquilegia adoxoides   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   4,775
개구리밥 [4/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irodela polyrhiza   개구리밥과   개구리밥속   3,767
개구리자리 [7/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nunculus scelerat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3,859
개구릿대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anomala   산형과   당귀속   5,463
개굴피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terocarya rhoifolia   가래나무과   개굴피나무속   2,528
개기장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nicum bisulcatum   벼과   기장속   2,177
개꽃 [2/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tricaria limosa   국화과   족제비쑥속   3,31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