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융단사초,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강계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한해살이풀
  • Green
쐐기풀과(Urticaceae) 10속 (피자식물문/목련강/쐐기풀목)
물통이속(Pilea) 7종
국명강계큰물통이(한반도특산식물)
학명Pilea oligantha Nakai
원산지한국
분포평안 북도 강계와 함경 남도 삼수지역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가 5~10cm 정도로 자란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삼각형이고 진한 녹색이며 표면에는 털이 약간 나고 뒷면은 잎맥을 따라 털이 있으며 3맥이 있고 길이 5~12mm, 나비 4~11mm이다. 가장자리 중간 이상에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 또는 절저에 가깝고 끝이 둔하다. 엽병은 길이 3~8mm로서 윗부분에 다소 털이 있으며 탁엽은 둥글고 길이와 나비가 각 2~3mm이며 막질이다.
  •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꽃차례가 탁엽 틈에서 나온다. 웅화서는 대가 있는 2~3개의 꽃이 달리며 화피열편은 둥글고 2개이며 수술은 대가 거의 없고 2개이다. 자화서는 1~2개의 꽃이 달리며 대가 없고 화피열편은 3개로서 그 중 2개는 길며 씨방과 길이가 비슷하다.
  • 열매는 수과이다.
  • 털이 없으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서식지습지에서 자란다.
개요산지의 습한 응달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0cm 정도,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마주나고 짙은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3~8mm이다. 잎몸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와 폭이 1.2cm에 이른다. 잎밑은 넓게 뾰족하고, 일자 모양이며 3맥이 있다. 잎 가장자리는 적은 수의 둔한 톱니가 있고, 잎끝은 둔하다. 잎 양면에 털이 성글게 있다. 꽃은 암수한포기로 7~9월에 잎겨드랑이에 거의 비슷한 머리모양꽃차례에 붙고, 수꽃차례는 2~3개의 꽃이, 암꽃차례에는 1~2개의 꽃이 핀다. 수꽃은 화피와 수술이 각각 2개로 구성된다. 암꽃은 3개의 화피로 구성되고, 2개의 화피는 다른 1개의 화피보다 길다. 평안북도 강계와 함경남도 삼수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강계큰물통이는 제주큰물통이에 비해서 수꽃차례는 2~3개의 꽃이 붙고, 암꽃의 2개의 화피가 결실기에 열매의 길이와 거의 비슷한 점에서 구별된다.
근연종* ▶산물통이(Achudemia japonica Maxim.): 잎은 막질, 달걀모양, 넓은 달걀모양, 길이 1~3㎝,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모시물통이(P. pumila (L.) A.Gray):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달걀모양,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달걀모양, 사각상 달걀모양,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감나무 [4/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ospyros kaki   감나무과   감나무속   4,103
감둥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atrata   사초과   사초속   1,552
감복사 Prunus persica for. compressa   장미과   벚나무속   1,569
감자 [6/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olanum tuberosum   가지과   가지속   4,218
감자개발나물 [2/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um ninsi   산형과   개발나물속   3,542
감자난초 [7/5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eorchis patens   난초과   감자난초속   3,540
감절대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eynoutria forbesii   마디풀과   하수오속   4,401
감초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yrrhiza uralensis   콩과   감초속   2,957
감탕나무 [1/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lex integra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4,979
감태나무 [4/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ndera glauca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7,517
갑산제비꽃 [0/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kapsanensis   제비꽃과   제비꽃속   2,525
갑산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ussuriensis   벼과   포아풀속   1,141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assica juncea var. juncea   배추과   배추속   2,056
갓대 국가표준식물목록 Sasa chiisanensis   벼과   조릿대속   1,460
강계버들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lix kangensis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1,367
강계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lea oligantha   쐐기풀과   물통이속   1,351
강낭콩 [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콩과   강낭콩속   2,756
강부추 [5/16]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longistylum   백합과   부추속   3,619
강아지풀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벼과   강아지풀속   4,042
강원고사리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nakaii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280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