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토끼풀,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물참대, 실별꽃, 장미,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이끼,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가는대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노루발

    노루발

  •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통통배

    통통배

  •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무심거사

    무심거사

  •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晴嵐

  •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晴嵐

  •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晴嵐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red
  • 취산화서,
석죽과(Caryophyllaceae) 2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석죽목)
대나물속(Gypsophila) 2종
국명가는대나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VU 취약종)
학명Gypsophila pacifica Kom.
별명두메마디나물(북한명)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러시아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삼척시, 정선군)
전체크기높이 50-100cm정도에 이른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으로서 3개의 잎맥이 뚜렷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 너비 5~10mm이다. 잎은 육질이고 엽병이 없이 잎의 밑부분이 줄기를 완전히 감싸고 맞붙었다.
  • 6~7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산방상 취산꽃차례에 백색 꽃이 많이 달리고 화경은 길이 5~10mm이며 포(苞)는 난상 피침형으로 막질이다. 꽃받침은 짧은 종같으며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다. 씨방은 달걀모양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 삭과는 난상 구형이며 8-9월에 익어 끝이 4조각으로 갈라진다.
  • 높이 5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남록색을 띤다.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추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뿌리는 길고 굵으며 껍질은 잿빛을 띤 흑갈색이다.
서식지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개요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길고 굵으며 껍질은 잿빛을 띤 흑갈색이다. 줄기는 높이 50~100cm까지 자라며 가지는 윗부분에서 갈라진다. 줄기 전체에 거의 털이 없으며, 분백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4~7cm, 폭 1.5~2cm, 3개의 잎맥이 뚜렷하다. 잎끝은 둔하고 밑부분은 완전히 줄기를 감싼다. 상부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산방상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장이며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암술대는 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8월에 익고 계란 모양이다. 이 종은 대나물에 비해 꽃이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고 잎이 피침형이므로 구별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산지에 자라는 국가단위 취약종이다. 중국 만주,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도 분포한다. 가는잎대나물, 두메마디나물이라고도 한다.
근연종* ▶대나물(G. oldhamiana Miquel): 전체에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나온다. 잎은 피침형,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길이 3~5㎝이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댓글 19

  • 노루발 2007.03.12 23:16:01 촬영일시 : 2006.08.15 강원도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노루발 2007.03.12 23:18:13

    가는대나물

  • 노루발 2007.03.12 23:17:12 촬영일시 : 2006.08.15 강원도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노루발 2007.03.12 23:18:02

    가는대나물

  • 현촌 2007.03.13 20:43:41

    제1호 작품 가는대나물 축하합니다.

  • 통통배 2007.08.30 14:51:22 촬영일시 : 2007.8 두만강 무산인근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통통배 2007.08.30 14:52:29 촬영일시 : 2007.8 두만강 무산 인근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청암 2008.07.25 14:19:50 촬영일시 : 08.7.22 경기 화성시 서신면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청암 2008.07.25 14:21:48 촬영일시 : 08.7.17 경기 화성시 서신면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별꽃 2009.10.11 16:51:51 촬영일시 : 09.10.10 강원 평창군 한국자생식물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별꽃 2009.10.11 16:52:28 촬영일시 : 09.10.10 강원 평창군 한국자생식물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Profile 무심거사 2011.07.25 14:40:34 촬영일시 : 20110724 강원 평창군 자생식물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Profile 바지랑대 2012.06.12 18:17:17 촬영일시 : 20120612 강원 평창군 자생식물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Profile 바지랑대 2012.09.15 21:24:24 촬영일시 : 20120914 강원 평창군 자생식물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박용석(eparkyohan) 2013.02.25 07:59:19 촬영일시 : 20120717 강원 강릉시 자병산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석병산과 자병산에서 촬영

  • Profile habal 2016.06.25 01:00:24 촬영일시 : 20160623 강원 삼척시 덕항산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Profile 도리뫼 2017.07.09 12:10:53 촬영일시 : 20170708 강원 강릉시 석병산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Profile 도리뫼 2017.08.09 11:29:56 촬영일시 : 20170801 강원 강릉시 석병산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 Profile 晴嵐 2021.08.01 20:50:43 촬영일시 : 20210801 강원 선택 석병산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가는대나물(Gypsophila pacifica Kom.) : 晴嵐

    가는대나물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1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별꽃 [3/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aria media   석죽과   별꽃속   6,306
끈끈이대나물 [3/5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armeria   석죽과   장구채속   5,715
점나도나물 [2/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rastium holosteoides subsp. vulgare   석죽과   점나도나물속   5,466
비누풀 [3/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ponaria officinalis   석죽과   비누풀속   5,031
제비동자꽃 [3/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hnis wilfordii   석죽과   동자꽃속   4,783
갯개미자리 [2/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ergularia marina   석죽과   갯개미자리속   4,759
덩굴개별꽃 [4/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tellaria davidii   석죽과   개별꽃속   4,731
갯장구채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석죽과   장구채속   4,679
대나물 [4/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ypsophila oldhamiana   석죽과   대나물속   4,562
동자꽃 [5/7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hnis cognata   석죽과   동자꽃속   4,532
개별꽃 [3/6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석죽과   개별꽃속   4,469
장구채 [6/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firma   석죽과   장구채속   4,464
벼룩나물 [2/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aria alsine   석죽과   별꽃속   4,351
개벼룩 [6/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ehringia lateriflora   석죽과   개벼룩속   4,313
가는장구채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seoulensis   석죽과   장구채속   4,156
갯패랭이꽃 [3/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anthus japonicus   석죽과   패랭이꽃속   4,147
가는대나물 [6/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ypsophila pacifica   석죽과   대나물속   4,105
가는다리장구채 [6/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jeniseensis   석죽과   장구채속   4,096
분홍장구채 [8/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capitata   석죽과   장구채속   4,058
술패랭이꽃 [2/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anthus longicalyx   석죽과   패랭이꽃속   3,92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