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물참대, 토끼풀, 실별꽃, 장미,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이끼,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깃돌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4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돌잔고사리속(Microlepia) 4종
국명깃돌잔고사리
학명Microlepia marginata (Panz.) C.Chr. var. bipinnata Makino
개요숲속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갈색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자루는 길이 30~50cm, 밑부분에 갈색 털이 있다. 잎몸은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30~60cm, 폭 15~30cm다. 깃꼴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깊게 갈라지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은 녹색, 뒷면은 털이 많다. 포자낭군은 열편 가장자리 가까이에 달린다. 포막은 잔 모양으로 지름 0.7mm쯤, 털이 많이 붙는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나며, 베트남, 인도 북부, 일본, 중국 남부,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돌잔고사리에 비해 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지므로 구분된다. 돌토끼고사리는 포막이 우편 가장자리에 달리고 털이 거의 없으므로 구분된다.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

식물이름 학명 조회
돌토끼고사리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strigos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2,731
돌잔고사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marginat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2,835
깃돌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 bipinnata (Makino) Shimur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1,536
겹돌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lepia pseudostrigosa   잔고사리과   돌잔고사리속   1,906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