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정향풀, 토끼풀, 은방울꽃,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제주산딸기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장미과(Rosaceae) 4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산딸기속(Rubus) 31종
국명제주산딸기
학명Rubus nishimuranus Koidz
분포일본(오가사와라 제도), 한국(제주특별자치도)
전체크기70cm
형태
  • 잎은 호생하고 단영 또는 3소엽으로 합생한 장상엽으로서 거의 갈라지지 않는 것에서 깊게 갈라지는 것까지 있고 상부일수록 장상엽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정생 소엽은 난상타원형, 장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예첨두, 둔저ㅈ 또는 원저이고, 길이 3-7.5mc, 나비 1.5-4cm이며, 뚜렷한 이중거치 또는 결각상 이중거치가 있고, 입질은 다소 두터우며, 양민에 탈이 많고 특히 맥위에 털이 밀생하며, 드물게 짧은 소엽병을 형성하는 경도 있다. 탁엽은 좁은 피침형에서 선형으로 길이 6-12mm이며 양민에 연모와 선모가 밀생한다. 입병은 길이 1.5-7mm이며 연한 녹색으로 전체에 연모가 밀생하며 매우 드물게 가시가 있으며 표면에 한줄로 홈이진다.
  • 꽃은 3-4월 이 묵은 가지에서 나오는 새가지 끝이 1-3개씩 달라고, 화병은 길이 2-5cm, 연모와 선모가 있으면 대개 중간 부운이 포엽이 있다. 꽃받침 열편은 긴 피침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해지고 안쪽에는 우단같은 짧은 털이 밀생하고 바깥쪽에는 연모와 선모가 있으며 길이 12-18mm이다. 꽃잎은 5개로 수평으로 퍼지고 흰색이며 난형에서 타원형으로 길이 25-27mm, 나비 20-23mm로서 길이가 나비보다 다소 길다. 자예와 우예는 다수이며 심피는 거의 평활하다.
  • 집합과는 구형으로 6-7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먹을 수 있다.
  • 줄기에 띄엄띄엄 1-4mm의 수평으로 퍼지는 작고 가늘며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원줄기는 직경 5-10mm, 밤색 또는 갈색이고, 꽃이 달리는 어린가지는 다수 길게 신장하며, 길이 7-15ㅔㅎ, 연모와 선모가 밀생하지만 점차 탈락하고 연한 녹색이다.
개요바닷가에서 자라는 반상록성 작은떨기나무이다. 높이 70cm 정도이며 비스듬히 자라거나 곧추선다.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꽃이 달리는 어린가지는 다소 길게 신장하며 길이 7~15cm로 부드러운 털과 샘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탈락한다. 잎은 어긋나고 단엽 또는 3개의 작은잎이 합생한 손바닥 모양의 잎이다. 중축 가운데 끝의 작은잎은 난상 타원형, 장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잎끝이 점차 날카롭게 뾰족해지며, 밑은 둔하거나 둥글고 길이 3.0~7.5cm, 너비 1.5~4.0cm이다. 잎의 질은 다소 두꺼우며 양면에 털이 많은데 특히 맥 위에 털이 밀생한다. 턱잎은 좁은 피침형에서 선형으로 길이 6~12mm이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과 샘털이 밀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5~7.0cm이며 연한 녹색으로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꽃은 3~4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2~5cm이다. 꽃잎은 5개로 수평으로 펴지고 흰색이며 난형에서 타원형으로 길이가 너비보다 다소 길다. 열매는 6~7월에 익고 구형으로 적색이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잎이 3개의 작은잎으로 갈라지는 것부터 거의 갈라지지 않는 것까지 있어서 거문딸기와 장딸기의 중간형이고, 잎의 털, 줄기의 샘털의 분포가 거문딸기와 장딸기를 조합한 형태로 나타난다. 열매를 식용한다.
참고문헌Rubus nishimuranus Koidz. (Ros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65-70., Kitamura S. and G. Murata. 1997. Colored Illustrations of Woody Plants of Japan (Ⅱ). Hoikusha publising Co., Ltd., Osaka. 545 pp., Naruhashi, N. 2001. Rubus L. In Iwatsuki, K., D. E. Boufferd, and H. Ohba, (Eds.). Flora of Japan, Vol. Ⅱb: Angiospermae, Dicotyledonieae, Archichlamideae (b). Kodansha Ltd., Tokyo. Pp. 145-169., Okuyama, S. 1979. Terasaki's Illustrated Flora of Japan (2nd ed.).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1181 pp., Satake, Y., H. Hara, S. watari and T. Tominari. 1989. Wild Flowers of Japan (Woody Plants Ⅰ).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305 pp.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314

식물이름 학명 조회
아광나무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rataegus maximowiczii   장미과   산사나무속   2,326
국경찔레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osa jaluana   장미과   장미속   2,389
만첩흰매실 [2/5]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unus mume for. alboplana   장미과   벚나무속   2,834
남해조팝나무 Spiraea nankaiensis   장미과   조팝나무속   2,781
둥근잎조팝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iraea betulifolia   장미과   조팝나무속   2,329
초평조팝나무 [0/2] Spiraea pubescens f. leiocarps   장미과   조팝나무속   2,003
털긴잎조팝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Spiraea media var. sericea   장미과   조팝나무속   2,303
제주산딸기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ubus nishimuranus   장미과   산딸기속   1,783
당마가목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orbus pohuashanensis   장미과   마가목속   2,145
털이스라지 Prunus japonica for. rufinervis   장미과   벚나무속   1,600
가는잎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densiflora   장미과   벚나무속   1,834
가새잎산사 Crataegus pinnatifida var. partita   장미과   산사나무속   1,529
가새함경딸기 Rubus arcticus for. dentipetala   장미과   산딸기속   1,615
가시복분자딸기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ubus schizostylus   장미과   산딸기속   1,899
감복사 Prunus persica for. compressa   장미과   벚나무속   1,569
개아그배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micromalus   장미과   사과나무속   2,115
개위봉배나무 Pyrus pseudouipongensis   장미과   배나무속   1,280
거지딸기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ubus sumatranus   장미과   산딸기속   1,808
구름오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nguisorba argutidens   장미과   오이풀속   1,436
금강산돌배 Pyrus ussuriensis var. diamantica   장미과   배나무속   1,51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