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남흑삼릉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생 초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부들과(Typhaceae) 2속 (피자식물문/백합강/부들목)   ---->흑삼릉과(Sparganiaceae)
흑삼릉속(Sparganium) 7종
국명남흑삼릉
학명Sparganium fallax Graebn.
분포한국(강원, 제주), 중국, 일본, 러시아, 유라시아
전체크기60cm
형태
  • 잎은 줄기보다 다소 길고, 나비 4-10mm이며 표면은 편평하고 뒷면은 용골처럼 도드라진 능이 있어 횡단면이 삼각형을 이룬다.
  • 수상화서는 곧게 서며 길이 15cm정도이고, 밑 부분의 포는 화서와 길이가 거의 같다. 웅성 두상화서는 4-7개이고. 자성 두상화서와 뚜렷하게 떨어지 있다. 화피편은 막질의 선영흐로 6개이며, 길이 약 2.3-3mm, 나비 1.4-2mm이다. 화사는 길이 약 4-4.5mm이며, 약은 타원형으로 길이 약 1.5mm이다. 자성 두상화서는 3-4개이며, 서로 비교적 넓게 떨어져 있다. 흔히 자루가 없으나 최하위의 화서에는 자루가 있고, 직경 2-2.5mm이다. 자방은 단세포성으로 기부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화주는 길이 약 2mm로 짧으며, 주두는 타원형으로 부리모양이다. 화피와 화주는 숙존한다.
  • 열매는 마름모상의 난형으로 길이 약 5mm, 직경 약 2mm정도이다. 종자에는 배유가 있다.
  • 줄기는 직립하며 높이 60cm 정도이다.
개요여러해살이 수생식물로 줄기는 곧게 서고 60cm까지 자란다. 잎은 꽃줄기보다 약간 길게 자라고 너비 4-10mm이며, 윗면은 편평하지만 뒷면의 가운데가 돌출한다. 전체 꽃차례에서 가장 아래의 포는 전체 꽃차례와 길이가 같다. 대가 없는 머리모양꽃차례가 가운데 축에 듬성듬성 달려서 전체 꽃차례를 이루며, 윗부분에는 수꽃으로만 구성된 머리모양꽃차례 4-7개가 달리고 아래쪽에는 암꽃으로만 구성된 머리모양꽃차례가 3-4개가 달린다. 머리모양꽃차례는 대부분 자루가 없지만 가장 아래의 것에는 자루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꽃받침과 꽃잎의 구분이 없이 얇은 화피편 6개가 달린다. 열매는 달걀꼴의 마름모 형태로 길이 5mm 정도이고, 8-9월에 익는다. 잎 뒷면의 가운데 맥이 돌출하고, 수꽃이 달리는 머리모양꽃차례가 4-7개인 점으로 우리나라의 다른 흑삼릉속 식물들과 구별된다. 2007년 제주도의 습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뉴기니, 미얀마, 부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Ⅴ.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2019)

댓글 1

  • 통통배 2009.11.11 15:22:16 촬영일시 : 2006.07 북한 백두산 .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6:07:02 10:41:30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4.5촛점거리464/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7/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Manual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560 X 1920


    * 13-08-23 16:04:06:좁은잎흑삼릉에서 변경(통통배)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성긴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tuberifera   벼과   포아풀속   912
은털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ira caryophyllea   벼과   은털새속   912
장수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yagrum perfoliatum   배추과   장수냉이속   897
이삭단엽란 [8/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axis monophyllos   난초과   이삭단엽란속   895
자주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glauca   벼과   포아풀속   895
변산향유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sholtzia byeonsanensis   꿀풀과   향유속   886
털땅빈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orbia hirta   대극과   대극속   862
섬일엽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aplopteris zosterifolia   봉의꼬리과   일엽아재비속   858
시베리아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sibirica   벼과   포아풀속   852
주름구슬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apistrum rugosum   배추과   주름구슬냉이속   848
남흑삼릉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arganium fallax   흑삼릉과   흑삼릉속   846
제주백서향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phne jejudoensis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   836
봄나도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arbarea verna   배추과   나도냉이속   825
탐라반쪽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Pteris excelsa var. fauriei   꼬리고사리과   봉의꼬리속   825
검정납작골풀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fauriei   골풀과   골풀속   819
푸른몽울풀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atostema laetevirens   쐐기풀과   몽울풀속   815
울릉제비꽃 [0/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ulleungdoensis   제비꽃과   제비꽃속   793
흰꽃물고추나물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adenum breviflorum   물레나물과   물고추나물속   787
전호아재비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aerophyllum tainturieri   산형과   전호아재비속   772
마늘냉이 [4/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aria petiolata   십지화과   마늘냉이속   76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