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물참대,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실별꽃,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벚나무, 말발도리,
  • 자생식물목록 : 5,603종
       213과 1,244속
  • 도감 사진 : 총 92,701건
        등록사진 : 8,075건
  • 개인도감 : 220명
        67,797건
  • 미등록종원예종 : 984종
  • 지역도감 : 3,881건
  • 갤러리사진 : 4,954건
  • 테마갤러리 : 1,748건
  • 질문과답변 : 33,341건
2006.10.24 12:45

국화(1)

조회 수 14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PowerShot A95촬영일자2005:11:13 13:02:34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5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250/32조리개 최대개방95/32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600 X 1200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PowerShot A95촬영일자2005:11:13 12:58:59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500조리개 값f/5.0촛점거리250/32조리개 최대개방95/32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600 X 1200
화분 재배국화 (촬영장소 : 경북 예천)



국화 모으기(菊花 花集) 테마 겔러리를 만들면서...

국화과의 식물에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그 광범위 함이 대단한것 같습니다.
그 중에 자연 야생은 제외하고 원예종을 중심으로 국화모으기를 해 보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어 시작 했습니다.

풀베개 회원님들의 동참 환영합니다.
............................................................................................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관상식물로 널리 심고 있다. 줄기 아래쪽은 점점 단단해지며 키가 1m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날개깃처럼 갈라졌으며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들이 있다.

꽃은 가을에 두상(頭狀)꽃차례로 무리져 한 송이 꽃처럼 피나, 꽃이 피는 시기는 품종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암·수술이 모두 있는 통상화(筒狀花)와, 가장자리가 암술로만 된 설상화(舌狀花)가 핀다.
꽃 색깔은 노란색·흰색·빨간색·보라색·주황색 등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이다.


동양에서는 옛날부터 관상식물로 심었으며 사군자의 하나로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언제부터 국화를 심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중국에서 자라던 종류들 중 일부가 일본으로 들어가
많은 품종으로 개량되어 전세계로 퍼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고려사〉를 보면 고려 의종(1163) 때 왕궁의 뜰에 국화를 심고
이를 감상했다는 기록이 있어 아마 그 이전부터 국화를 심고 감상했을 것으로 보인다.


2,000여 종이 넘는 품종들이 알려져 있지만, 계속 새로운 품종들을 만들어 정확하게 몇 종류나 되는지 알 수 없다.
이들 품종들은 꽃이 피는 시기와 꽃의 크기 및 생김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누는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서는 5~7월에 피는 하국(夏菊), 8월에 피는 8월국,
9~11월에 피는 추국(秋菊) 및 11월 하순부터 12월에 걸쳐 피는 한국(寒菊)으로 나눈다.
이런 구분은 주로 꽃꽂이용 국화를 나눌 때 많이 쓰인다.

꽃의 크기에 따라서는 꽃의 지름이 18㎝가 넘는 대국(大菊), 지름이 9~18㎝ 정도인 중국(中菊),
지름이 9㎝가 채 안되는 소국(小菊)으로 나눈다.

꽃의 생김새에 따라 편평한 꽃으로만 된 광판종(廣瓣種), 하나하나의 꽃이 말려 겹쳐진 것처럼 보이며
꽃의 끝이 위로 말려 있는 후판종(厚辦種), 둥그렇게 말려 관처럼 보이는 꽃으로만 이루어졌으며
끝이 위로 말리는 관판종(管辦種)으로 나누고 있다.


반그늘지고 서늘하며 물이 잘 빠지는 흙에서 잘 자라며 가뭄에도 잘 견디나
흙에 물기가 많으면 뿌리가 썩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꽃의 크기가 큰 대국이나 중국 종류들은 화분에 심어 위로 곧추자라게 하고
소국은 분재를 하거나 한쪽으로만 길게 심는 현애작(懸崖作)을 한다.

申鉉哲 글

참고자료 : Daum백과사전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02g2828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국화(1) file 설뫼 2006.10.24 1482
101 국화(10) file 설뫼 2006.10.24 1187
100 국화(100) file 설뫼 2012.12.11 1152
99 국화(101) file 설뫼* 2015.10.06 461
98 국화(102) file 설뫼* 2015.10.16 466
97 국화(11) file 설뫼 2006.10.24 1116
96 국화(12) file 설뫼 2006.10.24 937
95 국화(13) file 설뫼 2006.10.24 1466
94 국화(14) file 설뫼 2006.10.24 1147
93 국화(15) file 설뫼 2006.10.24 1458
92 국화(16) file 설뫼 2006.10.24 976
91 국화(17) file 설뫼 2006.10.24 1467
90 국화(18) file 설뫼 2006.10.24 1463
89 국화(19) file 설뫼 2006.10.25 1686
88 국화(2) file 설뫼 2006.10.24 1236
87 국화(20) file 설뫼 2006.10.25 1467
86 국화(21) file 설뫼 2006.10.25 1291
85 국화(22) file 설뫼 2006.10.25 1199
84 국화(23) file 설뫼 2006.10.25 1390
83 국화(24) file 설뫼 2006.10.25 1316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