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영초와 큰연영초

by 카르마 posted Jun 28,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wildgreen.co.kr/class/88189 참조

 

벌써 10년이 훨씬 지났군요.

뒤죽박죽 바뀌는 연영초와 큰연영초의 국명과 학명에 대해서 쓴 적이 있었습니다.

 

최근의 추세를 보니까 울릉도의 것들이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로 
내륙의 고산지역의 것들이 연영초(Trillium camschatcense)로 결론이 나는 것 같습니다.
아직 국생종목록등에는 정리가 안되어 뒤죽박죽이기는 하지만 FOC의 영문자료와 그간의 여러 자료들이 말하는 꽃밥의 길이로 구분을 하는 것 같습니다.

 

 

학명

Trillium camschatcense

Trillium tschonoskii

국표목의 국명

연영초

큰연영초

중국이름

길림연영초(吉林延龄草)

연영초(延龄草)

국표목의 자생지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리산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국생종의 자생지

경상북도(울릉도), 북부지방

중부 이북

FOC의 자생지

Japan, Korea, Russia (Siberia); North America

Bhutan, Japan, Korea, Myanmar, Sikkim

화사(filament)

3--4 mm

4--5 mm

꽃밥(anther)

7--10 mm

3--4 mm

 
 
 
내륙의 연영초들은 수술중에서 수술대보다 꽃밥의 길이가 훨씬 길어서 수술대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K-1727.pngEXIF Viewer   K-1728.pngEXIF Viewer


반면 큰연영초인 울릉도의 것들은 수술대위의 꽃밥이 동그랗게 보일정도로 짧고 꽃밥과 수술대의 구분이 명확해보입니다.

K-1729.pngEXIF Viewer  K-1730.pngEXIF Vie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