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말발도리,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실별꽃, 황기, 낙우송, 토끼풀, 해당화, 가래나무,
profile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촬영장소 강원도 모처
광릉요강.jpg : 멸종위기식물을 어덯게 해야 할까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11:05:30 12:09:00촬영자moohim감도(ISO)320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광릉요강꽃줄기.jpg : 멸종위기식물을 어덯게 해야 할까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11:05:30 12:09:29촬영자moohim감도(ISO)800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광릉요강꽃군락.jpg : 멸종위기식물을 어덯게 해야 할까요?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0D촬영일자2011:05:30 12:06:50촬영자moohim감도(ISO)1000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184 X 3456

자생지.... 반갑긴 했습니다만.. 거기도 이미 사람의 흔적이...

겨우 한포기 꽃을 피우고 있더군요.

둘러봐도 새로 태어난 신생아들은 보이질 않더군요. 걱정입니다.

또 철조망을 쳐야 할까요?  이 아이 자세히 보니 털복숭이네요.

 

  • profile
    카르마 2011.05.31 12:14

    저도 철조망 밖에 자유의 몸인 녀석들은 만나보지 못했습니다.

    아무래도 철조망칠 곳이 한곳 더 늘어나게 생겼군요.

    허긴 철조망 쳐놔도 철조망 넘어가서 캐간다고 하더군요.

    총들고 24시간 보초 설 수도 없는  일이...


    좌우간 잘 보존되기를 바랄뿐입니다.

  • profile
    까치박달 2011.05.31 19:25

      엊그에 광릉에 갔다왔는데 철조망에서도 못봤는디......      에이! 설마 ! 고짓뿌렁 같다

  • profile
    바지랑대 2011.05.31 21:12

    거역 할 수 없는 유혹.............

     

    정직 하게 말 하자면 나 자신이 인제의 당신을 벗어날 수 없소

    유월 이일 가겠소

    그 때 봅시다

  • profile
    무심거사 2011.05.31 21:55

    ㅋㅋ 네 오세요.. 큰 기대는 하지마시고 같이 1400고지 올라가면서 공부해 보아요..

  • ?
    러비 2011.06.01 09:16

    한때 난초에 미처서 몇 년을 지낼적의 생각이 납니다.

    그땐 남미의 어느 나라나 New Guinea에 가서 살아볼까 생각을

    하기도 했었는데... 그런 희귀종들에 미처서 말입니다....

    미친놈될뻔 했었지요...ㅎㅎㅎ

  • profile
    바지랑대 2011.06.01 09:41

    1400, 1400? 1400!!!

    내 수준으론 벅찬 분수에 많이 넘친 높이 입니다

    그 훨씬 전에 내 작은 뇌가 충만 할 껍니다.

  • profile
    설뫼 2011.06.01 14:46

    보호자로 무심거사님을 임명합니다...풀베개


  1. 02
    Jun 2011
    22:06

    흰꽃 덩굴장미

    붉은 덩굴장미는 많이 보았지만 흰색 은 처음이라 올려봅니다.
    Category목본 By잘몰라요 Reply0 Views203 file
    Read More
  2. 31
    May 2011
    10:04

    멸종위기식물을 어덯게 해야 할까요?

    자생지.... 반갑긴 했습니다만.. 거기도 이미 사람의 흔적이... 겨우 한포기 꽃을 피우고 있더군요. 둘러봐도 새로 태어난 신생아들은 보이질 않더군요. 걱정입니다. 또 철조망을 쳐야 할까요? 이 아이 자세히 보니 털복숭이네요.
    Category초본 By무심거사 Reply7 Views216 file
    Read More
  3. 31
    May 2011
    06:49

    묏미나리

    무심거사님 개인도감에 지리강활을 보고 묏미나리가 아닌가 의심하고 쪽지를 보냈더니 묏미나리처럼 습지에 살지않고 높은 산에서 담아온것이며 확실한 지리강활이라고 말씀하셔서 다시 제가 담아온넘과 자세히비교 해보니 정소엽의 잎자루가 확실히 구분이 되...
    Category초본 By까치박달 Reply1 Views186 file
    Read More
  4. 30
    May 2011
    14:15

    유럽단추쑥

    제주도 서귀포시 묵고 있던 숙소앞에서 발견했습니다. 찾아보니 유럽단추쑥으로 되어 있군요
    Category초본 By까치박달 Reply4 Views188 file
    Read More
  5. 29
    May 2011
    10:53

    찔레순의 향수

    어릴적에 소먹이 풀 베러갔다가 이 찔레나무의 새순이 올라오는걸 보면 그야말로 심봤다~다. 새순을 꺾어 껍질을 벗겨내고는 입에 넣어 씹으면 향기와 함께 달작지근한 물이나오며 씹히는 그 맛은 아는 사람만 안다.
    Category목본 By설뫼 Reply1 Views179 file
    Read More
  6. 25
    May 2011
    07:53

    벌노랑이

    경산 삼성산
    Category초본 By들꽃따라 Reply1 Views184 file
    Read More
  7. 23
    May 2011
    21:08

    제두리미

    안면도 야생화 탐사에서 논에서 날라가는 제두루미와 황새
    Category동물곤충 By꽃사랑 Reply2 Views180 file
    Read More
  8. 22
    May 2011
    19:50

    이름좀 알려주세요.

    무슨식물이예요, 방에 촬영일시 입력(찾기 창)이 불가해 이곳에 올려 봅니다. 회원님 여러분 이해를 바랍니다.
    Category초본 By몽블랑 Reply2 Views199 file
    Read More
  9. 22
    May 2011
    17:44

    유혹

    구미가 동하지 않으시나요? 연락처는 바지랑대님으로...
    Category초본 By무심거사 Reply11 Views232 file
    Read More
  10. 22
    May 2011
    15:42

    애기풀

    Category초본 By몽블랑 Reply3 Views190 file
    Read More
  11. 20
    May 2011
    22:28

    물망초

    곱게 꾸며 놓은 꽃밭 유독 눈에 띤 물망초, 나를 잊지 말아요. 추파를 보내는 군요.
    Category초본 By현촌 Reply5 Views198 file
    Read More
  12. 20
    May 2011
    16:44

    자생 돌단풍

    2011.5.8(일) 경기 가평군 북면 적목리 통상 주변의 공원이나 수목원에서 조경용으로 식재된 돌단풍을 흔히 보아 왔지만 화악산에서 내려오는 맑은 물의 가평천 계곡 돌틈사이에서 싱싱하게 꽃을 피우며 자생하고 있는 녀석들을 만나보니 나도 덩달아 행복해진...
    Category초본 By설뫼 Reply2 Views194 file
    Read More
  13. 19
    May 2011
    20:59

    이게 뭘까요?

    해발 800정도에서 보긴 봤는데 너무 작은게 두개체이더군요.. 걍 성냥골 만한걸 먹어버렸습니다. 장뇌가 아닙니다. 새가 먹고 실례한겁니다. 그러니 두개가 같이 나왔겠죠 ㅎㅎ
    Category초본 By무심거사 Reply3 Views206 file
    Read More
  14. 15
    May 2011
    13:26

    화악산의 풍광 두 컷

    경기도 가평군 북면(北面)과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史內面)의 경계에 있는 화악산은 그 높이가 1,468.3m이다. 동쪽의 응봉(鷹峰:1,436m), 서쪽의 국망봉(國望峰:1,168m)과 함께 광주산맥(廣州山脈)의 주봉(主峰)을 이루며 경기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사계절...
    Category기타작품 By설뫼 Reply3 Views196 file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 354 Next
/ 35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