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말똥비름,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일엽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상록다년초
봉의꼬리과(Pteridaceae) 8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일엽아재비과(Vittariaceae)
일엽아재비속(Haplopteris) 2종
국명일엽아재비(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
학명Haplopteris flexuosa (Fée) E.H.Crane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국, 히말라야, 타이완,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 인도 북부
형태
  • 잎 가장자리가 기부까지 날개처럼 흘러확실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기부는 어두운 색을 띤다. 단엽이며, 선형으로 위쪽이 점차 좁아져서 가늘어지고, 길이 17-46.8cm, 너비 3-7mm로 납작하다. 혁질로 진한녹색을 띄며, 뒷면은 엽축(葉軸)이 솟아올라 중륵이 뚜렷하다.
  • 포자낭군은 뒷면 가장자리 근처의 오목한 줄을 따라 연속해서 줄로 달리며 뒤로 말린 잎가장자리가 그 일부를 덮기도 한다. 포자낭 사이에는 선모 비슷한 털이 있다.
  • 길이 1.6-3.1mm로 짧게 뻗으며 잎은 총생한다. 인편은 갈색으로 선형이며 막질이고, 길이 2.5-4mm로 드문드문 톱니(牙齒)가 있으며, 끝은 꼬리모양으로 된다.
  • 근경은 짧게 옆으로 자라며 인편이 밀생하고 잎이 총생. 인편은 흑갈색이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2.5-4mm이고 소돌기가 약간 있다.
서식지산지 숲 속의 그늘진 나무나 바위절벽
개요산지의 큰 나무 또는 바위 겉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착생하는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상하면이 있으며, 짧게 기고, 비늘조각이 빽빽이 붙는다. 비늘조각은 갈색 혹은 흑갈색이고, 가장자리에 미세한 이모양톱니가 있다. 뿌리는 섬유상으로 갈색 털이 빽빽이 붙는다. 잎은 2열로 마주나며, 붙어 나고, 선형으로 길이 15~35cm, 폭 4~6mm, 단엽이다. 잎맥은 가운데 잎줄이 하면에서 돌출하고, 상면에서 홈으로 파이며, 가운데 잎줄 양측에 한 줄의 망극을 형성한다. 포자낭군은 가운데 잎줄 양측의 잎 가장자리 가까이의 홈을 따라 배열되며, 잎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 만들어진 가짜포막이 있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나며, 중국 중남부, 일본 중부 이남, 타이완, 인도, 부탄, 네팔, 베트남을 비롯한 인도차이나 반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이 단엽, 선형이며, 포자낭군은 가운데 잎줄 양측의 잎 가장자리 가까이의 홈을 따라 배열되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 만들어진 가짜포막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마고사리, 사자란이라고도 한다.
동정키섬일엽아재비(H. zosterifolia (Willd.) E. H. Chane)는 일엽아재비에 비해 잎의 너비 7mm이상이고, 엽신 뒷면의 중륵이 불분명하며, 인편은 검은 갈색으로 사다리 무늬가 있고, 포자낭군이 잎 가장자리의 골속에 붙는 점이 다르다. 세계의 열대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만 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확인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4)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융단사초 [0/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iyabei   사초과   사초속   129
들묵새아재비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ulpia bromoides   벼과   들묵새속   108
양지사초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nervata   사초과   사초속   1,896
긴잎산조팝나무 [1/6]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iraea pseudocrenata   장미과   조팝나무속   2,719
넉줄고사리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vallia mariesii   넉줄고사리과   넉줄고사리속   5,499
흰생열귀나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Rosa davurica f. alba   장미과   장미속   2,085
흰괴불나무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onicera tatarinowii   인동과   인동속   2,198
연자주쥐손이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ranium purpureum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79
태백기린초 [5/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edimus latiovalifolius   돌나물과   기린초속   5,510
죽대 [2/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lasianthum   백합과   둥굴레속   3,065
산마늘 [3/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microdictyon   백합과   부추속   4,045
연지골무꽃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utellaria indica var. coccinea   꿀풀과   골무꽃속   2,923
연미붓꽃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ris tectorum   붓꽃과   붓꽃속   2,594
솔잎해란초 [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uttallanthus canadensis   현삼과   솔잎해란초속   1,119
섬초롱꽃 [3/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panula takesimana   초롱꽃과   초롱꽃속   2,845
섬양지꽃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tentilla dickinsii var. glabrata   장미과   양지꽃속   1,531
섬국수나무 [3/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iraea insularis   장미과   조팝나무속   3,319
상산 [7/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ixa japonica   운향과   상산속   3,382
미역고사리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podium vulgare   고란초과   미역고사리속   2,591
누린내풀 [8/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pora divaricata   마편초과   누린내풀속   4,56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