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정향풀, 토끼풀, 은방울꽃,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하수오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 통통배

    통통배

  •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 habal

    habal

  •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 무심거사

    무심거사

  •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 산들꽃

    산들꽃

  •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 산들꽃

    산들꽃

  •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 산들꽃

    산들꽃

  •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 산들꽃

    산들꽃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원추화서,
마디풀과(Polygonaceae)
하수오속(Reynoutria)
국명하수오(외래식물)
학명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별명적하수오(북한명), 세박조가리, 새박덩쿨(전남 고흥)
원산지중국 원산.
분포전국 각지에 난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있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6cm, 폭 2.5-4.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짧은 원통형이다.
  •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1.5-2mm이지만 꽃이 핀 다음에는 길이가 5-6mm로 된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씨방은 달걀모양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 수과는 3개의 날개가 있으며 꽃받침으로 싸여서 길이 7~8mm쯤 되고 세모진 달걀모양의 열매는 길이 2.5mm쯤 된다.
  • 가늘며 전체에 털이 없다.
  •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면서 때로는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덩이뿌리는 여러 개의 가는 줄기로 연결되며 그 길이는 1.4~1.5cm에 달한다.
서식지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야생하므로 전국 어디서나 재배할 수 있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점질양토나 사질양토가 적당하고 내한성, 내충성, 내건성에 강한 단일성 식물이다.
개요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면서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 심장형으로 길이 3-6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총상으로 달리는 원추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흰색이다. 꽃받침은 5장이며, 꽃이 핀 다음에 더 자란다. 덩이뿌리를 강장, 탈모, 우울증에 약용한다. 일본과 중국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각지에서 재배하며,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자라기도 한다.중국 원산이며 뿌리를 약용하기 위해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산지, 버려진 곳, 인가 근처 등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면서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 심장형, 길이 3~6cm에,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짧은 원통형이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리는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꽃받침 5장은 꽃이 핀 다음에 자란다. 수술은 8개, 씨방은 난형,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 날개가 있으며, 세모진 난형이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재배하거나 자생하며, 일본, 중국 중부 이북, 서부의 쓰촨 성, 윈난 등에 분포한다. 흔히 하수오의 뿌리를 적하수오로 부르지만, 간혹 백하수오로 잘못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백하수오는 본 분류군인 하수오와 전혀 다른 박주가리과의 큰조롱의 뿌리이다. 덩이뿌리를 강장, 탈모, 우울증 등에 약용한다. 붉은조롱, 적하수오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나도하수오(P. cilinervis): 뿌리는 굵고 목질, 줄기는 많이 갈라진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동정키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외래식물
등록된 식물 417

식물이름 학명
톱니대극 Euphorbia dentata Michx.   대극과   대극속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A.Love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털여뀌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마디풀과   여뀌속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좀소리쟁이 Rumex nipponicus Franch. & Sav.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미국갯마디풀 Polygonum ramosissimum Michx.   마디풀과   마디풀속  
개마디풀 Polygonum equisetiforme Sibth. & Sm.   마디풀과   마디풀속  
묵밭소리쟁이 Rumex conglomeratus Murray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부령소리쟁이 Rumex patientia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쓴메밀 Fagopyrum tataricum (L.) Gaertn.   마디풀과   모밀속  
하수오 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마디풀과   하수  
히말라야여뀌 Koenigia polystachya (Wall. ex Meisn.) T.M.Schust. & Reveal   마디풀과   히말라야여뀌속  
상치아재비 Valerianella olitoria Pollich   마타리과   상치아재비속  
버들마편초 Verbena bonariensis L.   마편초과   마편초속  
긴포마편초 Verbena bracteata Cav. ex Lag. & Rodr.   마편초과   마편초속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메꽃과   유홍초속  
선나팔꽃 Jacquemontia taminifolia Gris   메꽃과   선나팔꽃속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Jacq. var. hederacea   메꽃과   미국나팔꽃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