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사과나무, 말똥비름,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해바라기,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피나물, 장미, 층층나무, 미나리냉이, 으름덩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두메흑삼릉 국가표준식물목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부들과(Typhaceae) 2속 (피자식물문/백합강/부들목)
흑삼릉속(Sparganium) 7종
국명두메흑삼릉
학명Sparganium glomeratum (Laest. ex Beurl.) Beurl.
분포한국(강원), 일본, 중국, 러시아, 티베트,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캐나다
개요줄기는 높이 5O~7Ocm이고,식물체는 단단하여 곧게 자라지만 깊은 물에서는 잠겨서 부유하기도 한다. 지하경은 옆으로 뻗는다. 잎은 선형으로 바로 서서 자라거나 물에 잠겨서 부유한다. 길이는 29~55cm, 너비 5~llmm, 잎 뒷면에 용골이 발달하며 위쪽은 다소 납작하고,아래쪽으로 갈수록 삼각형을 띤다. 기부는 엽초처럼 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화서 줄기는 바로 서며 길이 약 ll~23cm, 화축은 분지하지 않는다. 1~2개의 수화서가 위쪽에 붙어서 달리고,그 아래쪽에 바로 붙어서 암화서가 5~7개 달린다. 포는 잎 모양이며 화서 줄기의 가장 아래쪽 포는 화서 줄기보다 2배 이상 길다. 수화서는 개화시 직경 ll~l4mm이다. 암화서는 수화서와 붙어서 나고 상부액생하여 위쪽 포의 맞은편에 위치하기도 한다. 자루가 없으나 아래쪽 화서는 자루가 있다. 개화시 직경 약 11mm이다. 수꽃은 화피는 약3개,도란형이고, 길이 약2mm이다. 수술은 대개 3개 혹은 그 이상이고, 꽃밥은 약 0.7~0.9mm, 수술대는 약 5~6mm이다. 암꽃은 화피는 3~6개,장타원형에서 도란형이며 막질이고, 중앙부는 녹색이다. 길이는 약 2~3mm이다. 심피는 1개이고, 자방은 피침형 혹은 좁은 방추형이다. 암술머리는 길이 0.6~0.8mm이다. 열매는 대개 방추형으로 길이 약 3.5~6mm이고, 직경 1.5~2mm이다. 육질의 외과피 안에 내과피는 단단하고 자루가 있다. 표면은 매끈하고 세로줄이 있다. 종자는 난형이다.최근 대암산 용늪에서 국내 자생지가 발견되었으며 고산 습지에서 발견되어 "두메흑삼릉"이라는 국명신칭과 함께 발표되었다(Gil et al., 2019).Stems 50-70cm tall, robust, erect, emergent, floating or submerged in deep water. Rhizomes creeping. Leaves linear, erect or floating, emergent or submerged, 29-55cm long, 5-llmm wide, abaxially carinate, triangular toward base, sheathed at base with membranous margin. Inflorescence stems erect, 11-23cm long, nonbranched; 1-2 male heads at upper part, 5-7 female heads at lower part. Bracts leaf-like, the lowermost bract is more 2 timex longer than inflorescence stem. Male heads ll-14mm diameter at anthesis. Female heads adjacent to male heads, supraaxillary, sometimes opposite side to upper bract, sessile, but the lowermost head often pedunculate, ca. 11mm diameter at anthesis. Male flowers perianth 3, obovate, ca. 2mm long; stamens 3 or more; anthers 0.7-0.9mm long;filaments 5-6mm long. Female flowers perianth 3-6, oblong to obovate, membranous, green at middle part, ca. 2-3mm long; carpels 1; ovaries lanceolate or narrow fusiform; stigmas 0.6-0.8mm long.Fruits usually fusiform, 3.5-6mm long, 1.5-2mm diameter; exocarp fleshy, endocarp hard, pedunculate, surface smooth with longitudinal lines. Seeds ovate.
근연종*A key to Sparganium glomeratum and related taxa in Korea
1. Inflorescence axis 3?5 branched; stigmas and ovary locules 1?2; stigmas longer than ovary; endocarps with longitudinal ridges and without stalks ·························· 2

2. The lowermost inflorescence branch with male and female heads; stigmas 3?4 mm long; fruits 3?4.5 mm wide ··········································· S. erectum (흑삼릉)

2. The lowermost inflorescence branch with single female head; stigmas 6?9 mm long; fruits 6?10 mm wide ································ S. coreanum (조선흑삼릉)

1. Inflorescence axis never branched or rarely 1-branched (S. subglobosum); stigmas and ovary locules 1; stigmas shorter than ovary; endocarps without longitudinal ridges and with stalks ································································· 3

3. The lowermost inflorescence bract shorter than or equal to inflorescence axis; female heads never pedunculated ············· S. subglobosum (가는흑삼릉)

3. The lowermost inflorescence bract longer than inflorescence axis; the lowermost 1?2 female heads pedunculated ······························································· 4

4. Plants usually floating and submerged; leaves non-carinate (flat); width of leaves 1?3 mm ················ ··························· S. hyperboreum (좁은잎흑삼릉)

4. Plants usually erect and emergent; leaves carinate; width of leaves 3?11 mm ···································· 5

5. Female heads adjacent to male heads; number of male heads 1?3 ·············································· ·························· S. glomeratum (두메흑삼릉)

5. Female heads separated from male heads; number of male head 6?10 ···························· 6

6. Female heads axillary; inflorescence bracts ascending or spreading ·································· ····························· S. japonicum (긴흑삼릉)

6. Female heads supra-axillary; inflorescence bracts erect ··············· S. fallax (남흑삼릉)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Ⅴ.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2019)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좁은잎흑삼릉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arganium hyperboreum   흑삼릉과   흑삼릉속   1,646
남흑삼릉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arganium fallax   흑삼릉과   흑삼릉속   846
가는흑삼릉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arganium subglobosum   흑삼릉과   흑삼릉속   87
두메흑삼릉 국가표준식물목록 Sparganium glomeratum   흑삼릉과   흑삼릉속   99
후추등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per kadsura   후추과   후추속   4,384
회양목 [5/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sinica var. insularis   회양목과   회양목속   8,140
좀회양목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microphylla   회양목과   회양목속   1,861
수호초 [3/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chysandra terminalis   회양목과   수호초속   4,073
섬회양목 [1/6]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koreana for. insularis   회양목과   회양목속   1,889
홀아비꽃대 [6/5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loranthus japonicus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4,814
진주란 국가표준식물목록 Chloranthus spicatus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1,434
죽절초 [6/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rcandra glabra   홀아비꽃대과   죽절초속   4,559
옥녀꽃대 [5/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loranthus fortunei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3,188
꽃대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loranthus serratus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속   1,787
흰협죽도 Nerium indicum for. leucanthum   협죽도과   협죽도속   3,150
흑박주가리 [5/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협죽도과   백미속   2,985
호야 [1/4] 국가표준식물목록 Hoya carnosa   협죽도과   호야속   1,899
협죽도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erium oleander   협죽도과   협죽도속   3,831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협죽도과   백미속   2,053
털마삭줄 [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achelospermum jasminoides   협죽도과   마삭줄속   3,52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