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검색표

댕강나무와 줄댕강나무속의 재정리

by 카르마 posted Jun 29,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어제 영월지역을 탐사하면서 줄댕강나무와 털댕강나무를 만났습니다.
문제는 줄댕강나무와 털댕강나무라고 하는 것들중에서도 줄기에 줄이 없는 것도 있고 더러는 잎에 거치가 있는 것도 있어서 생각보다 많은 종이 자생하는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그런데 자료를 뒤지다 보니 조금 놀랍습니다.
여러종의 댕강나무속의 이름은 알고 있었고 그 동정에 애를 먹고 있었는데
최근 영문자료를 보니까 몽땅 삭제되고 줄댕강나무와 털댕강나무 달랑 두종만 등록되어있습니다.

그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4. 댕강나무속 Abelia
1. 꽃받침은 2(3)개이다. 화관은 긴 종형(Euabelia절) ------------------------ 1. 좀댕강나무
1. 꽃받침은 4-5개이다. 화관은 輻狀(Zabelia절).
2. 검색표 A(동정용)
  3. 잎은 긴 능형, 점첨두 ------------------------------------------- 2. 주걱댕강나무
  3. 잎은 타원형-난형, 예두.
   4. 잎 양면에 털이 없다(울릉도) -------------------------------------- 3. 섬댕강나무
   4. 잎 양면에 털이 있다.
    5. 원줄기에 6줄의 홈이 있다. 꽃이 산방상으로 달림. 花冠은 길이 5mm이하.
       털이 온몸에 많다. (충북 단양군 매표면) ---------------------------- 4. 줄댕강나무
    5. 원줄기에 6줄의 홈이 있거나 없다. 꽃이 2-3개로 털이 약간 있다. 화관은 1-1.5cm.
     6. 꽃은 1花梗에 3개, 5열편 ------------------------------------------ 5. 댕강나무
     6. 꽃은 1화경에 1-2개, 4열편.
      7. 꽃받침 열편은 5-9mm, 有毛. 잎은 난상 광피침형 ------------------- 6. 털댕강나무
      7. 꽃받침 열편은 3-4mm, 無毛. 잎은 도난형-난상 타원형 ------------- 7. 바위댕강나무
2. 검색표 B(계통용)
  3. 꽃은 화서끝에 2개가 붙는다(Biflorae열).
   4. 잎은 전연이다 ------------------------------------------------ 7. 바위댕강나무
   4. 잎은 거치연인다.
    5. 잎은 난상 피침형, 단모가 산포 ------------------------------------ 6. 털댕강나무
    5. 잎은 난형-광난형, 가장자리를 제외하곤 무모 ------------------------ 3. 섬댕강나무
  3. 꽃은 밀추화서로 가지끝에 모여 두상을 이룬다(Corymbosae열).
   6. 꽃은 길이 1cm내외로 작고, 꽃받침 열편은 길이 4-6mm ---------------- 4. 줄댕강나무
   6. 꽃은 길이 1.5-3cm로 크고, 꽃받침 열편은 길이 7-15mm.
    7. 잎은 긴 능형, 점첨두. 꽃은 길이 1.5cm내외 --------------------------- 5. 댕강나무
    7. 잎은 타원형-난형, 예두. 꽃은 길이 2-3cm ------------------------- 2. 주걱댕강나무

이상은 이상태검색집의 내용이고 이창복도감 검색집도 대동소이합니다. 다만 정선댕강나무라는 것이 한종 더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국가식물목록에는 다음의 7종이 구분되고 있습니다.

댕강나무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바위댕강나무 Abelia integrifolia Koidz.
섬댕강나무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 W.K.Paik
좀댕강나무 Abelia serrata Siebold & Zucc.
주걱댕강나무 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줄댕강나무 Abelia tyaihyoni Nakai
털댕강나무 Abelia coreana Nakai

그외에 재배종으로 꽃댕강나무(Abelia mosanensis T.H.Chung)가 포함되어있습니다.
풀베개에서는 편의상 재배종인 꽃댕강나무를 임의등록해두었습니다.
이 꽃댕강나무에 대해서도 논란의 소지가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주걱댕강나무라고 말하는 분도 계시고
꽃댕강나무의 학명인 Abelia mosanensis T.H.Chung 도 정체가 불확실합니다.
나중에라도 정확한 정체를 아시는 분은 정보를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좌우간 꽃댕강나무는 접어두고............

최근 영문자료를 보니까 뭔가 많이 잘못된 느낌입니다.
소위 댕강나무속이 줄댕강나무속으로 바뀌어있을 뿐 아니라 학명까지 통채로 바뀌었습니다.
예전 abelia가 아니고 zabelia로 바뀌었고 abelia는 아예 통채로 빠져버렸습니다.
게다가 zabelia속은 전세계적으로 6종만이 존재하고 한국에는 그중 2종만 있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줄댕강나무속 검색표
1. 새가지 겨드랑이에서 산방화서의 꽃이 핀다. 포는 5mm이상이고 잎모양이다. 꽃은 향기가 강하며 꽃받침과 화관은 다섯개로 갈라지며 화통은 직선이며 약간구부러진다.............. Zabelia tyaihyonii(줄댕강나무)
2. 꽃은 새가지의 끝에 두개씩 달린다. 포는 5mm이하이며 피침형이며 꽃은 향기가 적다. 꽃받침과 화관은 네개로 갈라지며, 화통은 굽어있거나 원통형이다........................... Zabelia biflora(털댕강나무)


우리가 흔히 댕강나무라고 말하는 것은 일본에서 교배되어 만들어진 원예종인 꽃댕강나무이거나 줄댕강나무입니다.
특히 꽃댕강나무는 1930년경에 도입되어서 그동안 댕강나무로 불리었기 때문에 여러 혼선이 생기는 것같습니다.

다시말해서 댕강나무나 주걱댕강나무, 바위댕강나무, 좀댕강나무, 섬댕강나무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동안 잎의 거치나 줄기의 여섯개의 줄 등등으로 세분화되었던 댕강나무속은 줄댕강나무속으로 바뀌고 거치나 줄기의 줄의 여부와 상관없이 화서와 꽃의 갈라진 모양으로 줄댕강나무와 털댕강나무 두개로 구분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특히 식재되어있는 댕강나무의 경우는 일본도입원예종인 꽃댕강나무이거나 줄댕강나무가 대부분인 것같습니다.

꽃댕강나무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FUJIFILM카메라모델명FinePixS2Pro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05:10:06 11:42:42감도(ISO)1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900조리개 값f/11.0촛점거리20000/100노출보정0/10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30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5원본사진 크기800 X 535
화관과 꽃받침은 다섯개로 갈라지지만 화통의 기부가 좁고 끝부분이 넓은 원추형
도입원예종이다.


줄댕강나무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06:05:28 09:22:27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00조리개 값f/14.0촛점거리105/1조리개 최대개방34/10노출보정-33/10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2원본사진 크기800 X 532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09:06:28 10:15:37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6원본사진 크기1936 X 1296대부분의 식물원에 댕강나무라는 팻말을 달고 있는 것이 줄댕강나무입니다.
새가지의 겨드랑이에서 화경이 나와서 산방화서를 이루고 꽃받침과 화관이 다섯개로 갈라지며 꽃은 원통형이다.


털댕강나무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카메라모델명E885소프트웨어E885v1.1촬영일자2004:05:11 20:30:05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474조리개 값f/2.8촛점거리80/10조리개 최대개방0/1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 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024 X 768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Kiss Digital X촬영일자2009:05:07 09:08:37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00조리개 값f/3.5촛점거리100/1노출보정0/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4원본사진 크기1024 X 683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2 Windows촬영일자2009:06:28 13:38:40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300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6원본사진 크기1936 X 1296
꽃은 새가지 끝에 두개씩 달리며 꽃받침과 화관은 네개로 갈라집니다.


주걱댕강나무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Digimax V3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05:05:15 15:41:58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80조리개 값f/4.8조리개 최대개방37/1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65535사진 크기800 X 605원본사진 크기537068544 X 1476526848

도감에는 일본에서 도입되어있다고 되어있지만 최근에 국내 자생이 확인된 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