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황기,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실별꽃, 낙우송, 은행나무, 백목련, 철쭉, 이팝나무,

한석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국명한석사초(외래식물)
학명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분포한국(강원, 경북), 북아메리카 자생
개요다년생. 식물체는 조밀하게 총생한다. 줄기 높이는 20 -100cm이고, 가늘며, 거의 직립하고 위쪽 모서리는 거칠다. 잎 줄기보다 길이가 짧고, 너비는 1.5-3mm이며, 엽초는 안쪽이 투명한 막질이다. 포엽 눈에 잘 띠지 않고, 때로는 맨 아래쪽의 것이 인편모양이며, 끝이 까락모양으로 되어 화서보다 길이가 긴 것도 있다. 화서 수상화서이고, 3-8개의 소수가 달리며, 길이 3-5 cm이다. 소수 3-8개, 자웅성이고, 길이는 8-14mm, 난형에서 방추형 또는 거의 구형으로 연한 녹색에서 볏짚색 또는 황갈색이며, 자루가 없다. 웅인편 갈색이고, 막질로 피침형이며, 끝은 예두이다. 자인편 갈색이고, 피침형으로, 길이 3.4-4mm, 끝은 예첨두이며, 과포보다 길이가 짧다. 과포 피침형이고, 단면은 편평하며, 길이 4-5.5mm, 너비 1.5-2mm이다. 몇 개의 맥이 양면에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날개가 있다. 끝은 서서히 줄어들어 편평한 긴 부리가 되고, 구부는 가위모양이다. 수과 렌즈형이고, 길이 1.3-1.8mm이다. 주두 2갈래로 갈라진다.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한석산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귀화식물로 보고되었다(Cheon et al., 2014). 이후 미국산사초(C. hirsutella)의 자생지인 경상북도 상주시의 활공장 임도주변 습지에서도 추가적으로 생육지가 확인되었다. 미국산사초에 비해 최하부 포엽은 인편모양이고, 과포의 부리가 곧으므로 구분된다.Habit Open swamps, wet meadows and shores. Perennial. densely caespitose. Stems 20-100 cm tall, slender, mostly erect, harsh near summit on the angles. Leaves shorter than stems, 1.5-3 mm wide, sheaths ventrally hyaline. Involucral bracts inconspicuous or the lowest one scalelike, awned at apex, up to about as long as the inflorescences. Inflorescences spicate inflorescence, 3-8 spikes, 3-5 cm long. Spikes 3-8, gynaecandrous, 8-14 mm long, ovate to fusiform or nearly globose, pale greenish to stramineous or tan, sessile. Staminate scales brown, membranous, lanceolate, apex acute. Pistillate scales brown, lanceolate, 3.4-4 mm long, apex acuminate, shorter than perigynia. Perigynia lanceolate, flat, 4-5.5 mm long, 1.5-2 mm wide, several veined on both faces, wing-margined and serrulate, apex gradually contracted into a flat beak, mouth bidentate. Achenes lenticular, 1.3-1.8 mm long. Stigmas 2.
참고문헌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var. scoparia (Cyper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4: 247-249.

외래식물
등록된 식물 417

식물이름 학명
히말라야여뀌 Koenigia polystachya (Wall. ex Meisn.) T.M.Schust. & Reveal   마디풀과   히말라야여뀌속  
해안선인장 Opuntia stricta (Haw.) Haw.   선인장과   선인장과  
해란초아재비 Kickxia elatine (L.) Dumort.   현삼과   해란초아재비속  
한련초 Eclipta thermalis Bunge   국화과   한련초속  
하수오 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마디풀과   하수  
패랭이아재비 Petrorhagia nanteuilii (Burnat) P. W. Ball & Heywood   석죽과   패랭이아재비속  
톱니대극 Euphorbia dentata Michx.   대극과   대극속  
토끼귀부지깽이 Conringia orientalis (L.) C.Presl   배추과   토끼귀부지깽이속  
털큰참새피 Paspalum urvillei Steud.   벼과   참새피  
털큰참새귀리 Bromus commutatus   벼과   새귀리속  
털땅빈대 Euphorbia hirta Linnaeus   대극과   대극속  
털개구리자리 Ranunculus sardo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큰새포아풀 Poa trivialis L.   벼과   포아풀속  
큰물칭개나물 Veronica anagallis-aquatica L.   현삼과   개불알풀속  
큰다닥냉이 Lepidium sativum L.   배추과   다닥냉이속  
큰노랑꽃갈퀴 Vicia grandiflora Scop.   콩과   나비나물속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Retz.   벼과   개사탕수수속  
천수국아재비 Dyssodia papposa (Vent.) Hitchc.   국화과   천수국아재비속  
창원제비꽃 Viola palmata L.   제비꽃과   제비꽃속  
창명아주 Atriplex prostrata Boucher ex DC. subsp. calotheca (Rafn) M.A.Gust.   명아주과   갯능쟁이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