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박태기나무, 은방울꽃, 사과나무, 해바라기,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물참대, 벌노랑이, 층층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각시미꾸리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black,white,violet
  • 원추화서,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각시미꾸리광이속(Puccinellia) 5종
국명각시미꾸리광이
학명Puccinellia chinampoensis Ohwi
별명각시미꾸리꽝이
원산지중국, 만주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 25~50cm이다.
형태
  • 엽신은 길이 3~10cm, 너비 1.5~3.0mm, 안쪽으로 말린다. 엽초는 전체적으로 터져있고 털이 없다. 엽설은 막질이고 길이 1.0~1.7mm, 둔두이다.
  • 개방원추화서로 길이 7~15cm, 첫 번째 가지는 한마디에서 3~5개의 가지가 나오고 가지는 깔끔거리며 화서 전체가 가장 위쪽 잎의 엽초에서 완전히 빠져나온다. 소수는 타원형으로 납작하고 길이 4~6mm, 4~7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제1포영은 길이 0.7~1mm, 1맥이다. 제2포영은 길이 1~1.3mm, 3맥이다. 호영은 도란형으로 길이 1.8~2.2mm, 녹색이며 5맥이 있고 기부와 측맥에 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고 2맥이 있으며 용골의 아래쪽은 부드러운 털이 있고 위쪽은 깔끔거린다.
  • 영과
  • 줄기는 총생하며 4~5개의 마디가 있다.
  • 근경이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서식지바닷가 둑이나 평지에 자란다.
개요바닷가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며, 높이는 30~70cm이고, 4~5개의 마디가 있다. 잎몸은 길이 3~10cm이고, 너비 1.5~3.0mm이다. 잎혀는 1.0~1.7mm로 막질이며, 끝이 납작하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의 마디에서 3~5개의 가지가 나며, 원추형을 이루고, 길이 7~15cm이다. 작은이삭은 타원형이고 길이 4~6mm로, 꽃이 4~7개 들어 있고, 제1포영은 길이 0.7~1mm이고, 제2포영은 1.0~1.3mm이다. 호영은 5개의 맥이 있고 길이 1.8~2.2mm이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다. 꽃은 6~7월에 핀다. 우리나라 경기도, 전라남도 등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각시미꾸리광이처럼 바닷가에서 자라는 갯겨이삭은 작은이삭이 연한 녹색이고 꽃차례의 아랫부분이 잎집에 싸이는 반면, 각시미꾸리광이는 작은이삭이 자주색이고 꽃차례가 넓게 퍼지므로 구별된다.
근연종* ▶갯겨이삭(P. coreensis Honda): 높이 30~60㎝, 줄기는 곧게 서고 가냘프다. 잎몸은 선형, 납작하고 매끈하다.
▶갯꾸러미풀(P. nipponica Ohwi): 높이 30~50㎝,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동정키갯겨이삭(P. coreensis)에 비해 호영은 길이 1.8~2.2mm로 작고, 소수는 대개 자주색, 원추화서는 항상 폭 넓게 전개되며 상위 엽초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초종용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banche coerulescens   열당과   초종용속   2,622
떡쑥 [4/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gnaphalium affine   국화과   떡쑥속   4,397
해홍나물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uaeda maritima   명아주과   나문재속   4,856
퉁퉁마디 [2/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licornia perennans   명아주과   퉁퉁마디속   5,253
끈적털갯개미자리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ergularia bocconei   석죽과   갯개미자리속   264
벳지 [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cia villosa   콩과   나비나물속   4,039
멍석딸기 [5/5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ubus parvifolius   장미과   산딸기속   4,347
새우난초 [2/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nthe discolor   난초과   새우난초속   5,254
큰구슬붕이 [4/6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ntiana zollingeri   용담과   용담속   4,210
비비추난초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ipularia japonica   난초과   비비추난초속   2,599
호자덩굴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tchella undulata   꼭두선이과   호자덩굴속   4,847
금난초 [6/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phalanthera falcata   난초과   은대난초속   3,313
흰양귀비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paver amurense   양귀비과   양귀비속   4,181
정향풀 [9/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msonia elliptica   협죽도과   정향풀속   5,960
오랑캐장구채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repens   석죽과   장구채속   2,538
양뿔사초 [6/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capricornis   사초과   사초속   3,046
산파 [5/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maximowiczii   백합과   부추속   3,051
산솜다리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ontopodium leiolepis   국화과   솜다리속   3,539
산마늘 [3/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microdictyon   백합과   부추속   4,043
부채붓꽃 [4/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ris setosa   붓꽃과   붓꽃속   3,253

Guest

로그인